분류 기타 현대차, 코나 전기차 배터리 전량 교체 한다..'1조원 투입' 작성자 정보 작성자 진짜사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2.15 16:43 컨텐츠 정보 조회 6,406 댓글 6 목록 본문 현대차가 잇따른 차량 화재로 골머리를 앓아 온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를 전량 교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투입 비용만 1조원이 넘는다. 이번 달 국토교통부의 사고 원인 조사 발표에 따라 배터리 제작사 LG에너지솔루션과의 비용 분담 조율 과정이 남아 있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사실상 정해졌다.현대차의 이 같은 결정은 시장 규정에 따른 행정 대응 수준을 넘어 도의상의 책임과 전기차 시대 선도 이미지를 쌓기 위해 내린 과감한 결단으로 해석된다.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옛 LG화학)이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셀, 배터리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를 추진한다. 리콜 조치에도 최근 차량 화재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면서 내린 고객 우호성 결단이다.이미지 크게 보기현대차그룹 양재 본사.배터리 교체 대상 차량은 지난 2017년 9월~2020년 3월 제작된 코나 일렉트릭 7만7000대다. 국토부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른 책임 규명 과정이 남아 있지만 전량 교체는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도 어느 정도 교감이 된 상태다.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절반씩 부담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현재까지 자동차 자진 리콜 가운데 이 같은 부품 교체는 이번이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 배터리 수급과 작업 시간의 현실 등을 고려하면 7만대가 넘는 차량의 배터리 전량 교체까지 최소 1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현대차 관계자는 “배터리 전량 교체를 포함해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국토부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어서 최종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모두 희박하다는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SNS 공유 신고 태그 #전기, #코나 [관련글] 국토부 "코나 화재, 배터리셀 불량 때문"..배터리시스템 교체 [관련글] '코나' 화재 원인 찾았다… "LG배터리 심각한 결함" [관련글] SK배터리 장착한 코나 EV 페이스리프트 국내 주행사진 [관련글] 화재·브레이크 결함..애증의 코나 전기차 국내 단종 [관련글] 국토교통부, 현대 코나 EV· G90 기아 쏘울 리콜 관련자료 링크 https://auto.v.daum.net/v/20210215154311543 13 회 연결 댓글 6개 ㅎㅋ님의 댓글 ㅎㅋ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17:58 결국은 이렇게 흘러가는군요 둘 중 어디로 몰빵 하기보다는 서로 합의해서 손해 보상해주고 브랜드 추락 위험도 서로 분담하는쪽으로요 어느한쪽 죽자고 물어 뜯는거보다는 가장 현명한 해법인거 같긴해요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결국은 이렇게 흘러가는군요 둘 중 어디로 몰빵 하기보다는 서로 합의해서 손해 보상해주고 브랜드 추락 위험도 서로 분담하는쪽으로요 어느한쪽 죽자고 물어 뜯는거보다는 가장 현명한 해법인거 같긴해요 촛대님의 댓글 촛대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19:25 글 올리시는 분들 중 현대차 아주 좋아하시는 분이 계신듯 전자신문에는 그 어디에도 현대,LG반반 부담이라는 단어 를 찾아볼수 없네요 https://www.etnews.com/20210215000207 그리고, 테슬라를 보면 배터리 쪽 전량 교체할수 밖에 없는게, LG 배터리가 문제면 LG 배터리 자체를 제외하면 되는데 그렇게 안 했다라는 점 뭔가 현대가 스펙으로 하면 안되는 것에, 자꾸 니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니로에도 LG 배터리 들어감. SK 랑 같이 납품한다라는데, 니로 이야기 하면서 SK 는 안전하다고, 하시는 분들은 도대체 뭔지 배터리 관계자들 및 그런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출력등 어떻게 쓰라고 한 것을 현대가 더 오버해서 쓰다가 그런게 아닌지 부터, 명장이라는 사람은 불이 안 붙는 오일등 이야기 등등 오일문제면 왜 다 교체해주겠다란 것인지 그것도 의문이 듦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글 올리시는 분들 중 현대차 아주 좋아하시는 분이 계신듯 전자신문에는 그 어디에도 현대,LG반반 부담이라는 단어 를 찾아볼수 없네요 https://www.etnews.com/20210215000207 그리고, 테슬라를 보면 배터리 쪽 전량 교체할수 밖에 없는게, LG 배터리가 문제면 LG 배터리 자체를 제외하면 되는데 그렇게 안 했다라는 점 뭔가 현대가 스펙으로 하면 안되는 것에, 자꾸 니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니로에도 LG 배터리 들어감. SK 랑 같이 납품한다라는데, 니로 이야기 하면서 SK 는 안전하다고, 하시는 분들은 도대체 뭔지 배터리 관계자들 및 그런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출력등 어떻게 쓰라고 한 것을 현대가 더 오버해서 쓰다가 그런게 아닌지 부터, 명장이라는 사람은 불이 안 붙는 오일등 이야기 등등 오일문제면 왜 다 교체해주겠다란 것인지 그것도 의문이 듦 ㅎㅋ님의 댓글의 댓글 ㅎㅋ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19:43 위 기사에도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절반씩 부담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적혀 있는데요?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위 기사에도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절반씩 부담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적혀 있는데요? 촛대님의 댓글의 댓글 촛대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6 01:05 현대차가 잇따른 차량 화재로 골머리를 앓아 온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를 전량 교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투입 비용만 1조원이 넘는다. 이번 달 국토교통부의 사고 원인 조사 발표에 따라 배터리 제작사 LG에너지솔루션과의 비용 분담 조율 과정이 남아 있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사실상 정해졌다. 현대차의 이 같은 결정은 시장 규정에 따른 행정 대응 수준을 넘어 도의상의 책임과 전기차 시대 선도 이미지를 쌓기 위해 내린 과감한 결단으로 해석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셀, 배터리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를 추진한다. 리콜 조치에도 최근 차량 화재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면서 내린 고객 우호성 결단이다. 배터리 교체 대상 차량은 지난 2017년 9월~2020년 3월 제작된 코나 일렉트릭 7만7000대다. 국토부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른 책임 규명 과정이 남아 있지만 전량 교체는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도 어느 정도 교감이 된 상태다.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국토부 결과 발표 등을 고려해 협의 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자동차 자진 리콜 가운데 이 같은 부품 교체는 이번이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 배터리 수급과 작업 시간의 현실 등을 고려하면 7만대가 넘는 차량의 배터리 전량 교체까지 최소 1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배터리 전량 교체를 포함해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국토부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어서 최종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전자신문은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고서를 토대로 현대차의 배터리 안전마진 문제를 주원인으로 지목했다. <본지 2020년 10월 12일자 4면 참조> 국과수가 국회에 제출한 코나 전기차 화재사고(2019년 7월 강릉사고) 관련 법 안전 감정서 분석 결과 차량의 배터리시스템 안전마진이 3% 수준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는 코나 일렉트릭과 같은 LG 배터리를 쓰는 다른 전기차의 안전마진보다 적은 수치다. 그만큼 운영 조건이 넉넉하지 않은 셈이다.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리콜 이후에 발생한 차량 화재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바람직한 일”이라면서 “최근 원인으로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은 정상 조건에선 배터리 후공정에 전부 걸러질 뿐만 아니라 발화 이전에 이미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지난달 24일 대구에서 충전이 완료된 채로 화재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 차량은 리콜 받은 차량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 직후 현대차는 코나 차주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통해 리콜에도 화재가 발생한 것에 대한 사과와 함께 “안전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과 함께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모두 15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현대차는 코나 전기차 7만7000대에 대한 BMS 업데이트 등 리콜을 실시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제가 올린 전자신문 전문입니다 저 위의 게시물과는 몇개의 기사가 없어지거나 달라진 내용이 보이시나요 제가 링크 한 곳 찾아가서 보세요 거기다가 전자신문 기사에는 분리막관련 내용도 있는데, 저위에 올리신데에는 없슴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현대차가 잇따른 차량 화재로 골머리를 앓아 온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를 전량 교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투입 비용만 1조원이 넘는다. 이번 달 국토교통부의 사고 원인 조사 발표에 따라 배터리 제작사 LG에너지솔루션과의 비용 분담 조율 과정이 남아 있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사실상 정해졌다. 현대차의 이 같은 결정은 시장 규정에 따른 행정 대응 수준을 넘어 도의상의 책임과 전기차 시대 선도 이미지를 쌓기 위해 내린 과감한 결단으로 해석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셀, 배터리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를 추진한다. 리콜 조치에도 최근 차량 화재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면서 내린 고객 우호성 결단이다. 배터리 교체 대상 차량은 지난 2017년 9월~2020년 3월 제작된 코나 일렉트릭 7만7000대다. 국토부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른 책임 규명 과정이 남아 있지만 전량 교체는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도 어느 정도 교감이 된 상태다.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국토부 결과 발표 등을 고려해 협의 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자동차 자진 리콜 가운데 이 같은 부품 교체는 이번이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 배터리 수급과 작업 시간의 현실 등을 고려하면 7만대가 넘는 차량의 배터리 전량 교체까지 최소 1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배터리 전량 교체를 포함해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국토부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어서 최종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전자신문은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고서를 토대로 현대차의 배터리 안전마진 문제를 주원인으로 지목했다. <본지 2020년 10월 12일자 4면 참조> 국과수가 국회에 제출한 코나 전기차 화재사고(2019년 7월 강릉사고) 관련 법 안전 감정서 분석 결과 차량의 배터리시스템 안전마진이 3% 수준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는 코나 일렉트릭과 같은 LG 배터리를 쓰는 다른 전기차의 안전마진보다 적은 수치다. 그만큼 운영 조건이 넉넉하지 않은 셈이다.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리콜 이후에 발생한 차량 화재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바람직한 일”이라면서 “최근 원인으로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은 정상 조건에선 배터리 후공정에 전부 걸러질 뿐만 아니라 발화 이전에 이미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지난달 24일 대구에서 충전이 완료된 채로 화재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 차량은 리콜 받은 차량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 직후 현대차는 코나 차주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통해 리콜에도 화재가 발생한 것에 대한 사과와 함께 “안전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과 함께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모두 15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현대차는 코나 전기차 7만7000대에 대한 BMS 업데이트 등 리콜을 실시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제가 올린 전자신문 전문입니다 저 위의 게시물과는 몇개의 기사가 없어지거나 달라진 내용이 보이시나요 제가 링크 한 곳 찾아가서 보세요 거기다가 전자신문 기사에는 분리막관련 내용도 있는데, 저위에 올리신데에는 없슴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쌥쌥이님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02.15 20:04 언플 엄청 해대네요. 문제 있으면 교환하는게 맞는거죠 22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언플 엄청 해대네요. 문제 있으면 교환하는게 맞는거죠 이노님의 댓글 이노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21:16 밧데리에 이노 분리막 피해서 중국산 분리막 쓰다 배터리 화재 난거라는데 현대가 왜 부담함? 망상일기를 기사로 내보내네. 국토부 발표 기다리는게 날 듯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밧데리에 이노 분리막 피해서 중국산 분리막 쓰다 배터리 화재 난거라는데 현대가 왜 부담함? 망상일기를 기사로 내보내네. 국토부 발표 기다리는게 날 듯 목록
ㅎㅋ님의 댓글 ㅎㅋ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17:58 결국은 이렇게 흘러가는군요 둘 중 어디로 몰빵 하기보다는 서로 합의해서 손해 보상해주고 브랜드 추락 위험도 서로 분담하는쪽으로요 어느한쪽 죽자고 물어 뜯는거보다는 가장 현명한 해법인거 같긴해요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결국은 이렇게 흘러가는군요 둘 중 어디로 몰빵 하기보다는 서로 합의해서 손해 보상해주고 브랜드 추락 위험도 서로 분담하는쪽으로요 어느한쪽 죽자고 물어 뜯는거보다는 가장 현명한 해법인거 같긴해요
촛대님의 댓글 촛대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19:25 글 올리시는 분들 중 현대차 아주 좋아하시는 분이 계신듯 전자신문에는 그 어디에도 현대,LG반반 부담이라는 단어 를 찾아볼수 없네요 https://www.etnews.com/20210215000207 그리고, 테슬라를 보면 배터리 쪽 전량 교체할수 밖에 없는게, LG 배터리가 문제면 LG 배터리 자체를 제외하면 되는데 그렇게 안 했다라는 점 뭔가 현대가 스펙으로 하면 안되는 것에, 자꾸 니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니로에도 LG 배터리 들어감. SK 랑 같이 납품한다라는데, 니로 이야기 하면서 SK 는 안전하다고, 하시는 분들은 도대체 뭔지 배터리 관계자들 및 그런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출력등 어떻게 쓰라고 한 것을 현대가 더 오버해서 쓰다가 그런게 아닌지 부터, 명장이라는 사람은 불이 안 붙는 오일등 이야기 등등 오일문제면 왜 다 교체해주겠다란 것인지 그것도 의문이 듦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글 올리시는 분들 중 현대차 아주 좋아하시는 분이 계신듯 전자신문에는 그 어디에도 현대,LG반반 부담이라는 단어 를 찾아볼수 없네요 https://www.etnews.com/20210215000207 그리고, 테슬라를 보면 배터리 쪽 전량 교체할수 밖에 없는게, LG 배터리가 문제면 LG 배터리 자체를 제외하면 되는데 그렇게 안 했다라는 점 뭔가 현대가 스펙으로 하면 안되는 것에, 자꾸 니로 이야기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니로에도 LG 배터리 들어감. SK 랑 같이 납품한다라는데, 니로 이야기 하면서 SK 는 안전하다고, 하시는 분들은 도대체 뭔지 배터리 관계자들 및 그런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의하면, 출력등 어떻게 쓰라고 한 것을 현대가 더 오버해서 쓰다가 그런게 아닌지 부터, 명장이라는 사람은 불이 안 붙는 오일등 이야기 등등 오일문제면 왜 다 교체해주겠다란 것인지 그것도 의문이 듦
ㅎㅋ님의 댓글의 댓글 ㅎㅋ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19:43 위 기사에도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절반씩 부담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적혀 있는데요?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위 기사에도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절반씩 부담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적혀 있는데요?
촛대님의 댓글의 댓글 촛대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6 01:05 현대차가 잇따른 차량 화재로 골머리를 앓아 온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를 전량 교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투입 비용만 1조원이 넘는다. 이번 달 국토교통부의 사고 원인 조사 발표에 따라 배터리 제작사 LG에너지솔루션과의 비용 분담 조율 과정이 남아 있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사실상 정해졌다. 현대차의 이 같은 결정은 시장 규정에 따른 행정 대응 수준을 넘어 도의상의 책임과 전기차 시대 선도 이미지를 쌓기 위해 내린 과감한 결단으로 해석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셀, 배터리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를 추진한다. 리콜 조치에도 최근 차량 화재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면서 내린 고객 우호성 결단이다. 배터리 교체 대상 차량은 지난 2017년 9월~2020년 3월 제작된 코나 일렉트릭 7만7000대다. 국토부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른 책임 규명 과정이 남아 있지만 전량 교체는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도 어느 정도 교감이 된 상태다.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국토부 결과 발표 등을 고려해 협의 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자동차 자진 리콜 가운데 이 같은 부품 교체는 이번이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 배터리 수급과 작업 시간의 현실 등을 고려하면 7만대가 넘는 차량의 배터리 전량 교체까지 최소 1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배터리 전량 교체를 포함해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국토부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어서 최종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전자신문은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고서를 토대로 현대차의 배터리 안전마진 문제를 주원인으로 지목했다. <본지 2020년 10월 12일자 4면 참조> 국과수가 국회에 제출한 코나 전기차 화재사고(2019년 7월 강릉사고) 관련 법 안전 감정서 분석 결과 차량의 배터리시스템 안전마진이 3% 수준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는 코나 일렉트릭과 같은 LG 배터리를 쓰는 다른 전기차의 안전마진보다 적은 수치다. 그만큼 운영 조건이 넉넉하지 않은 셈이다.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리콜 이후에 발생한 차량 화재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바람직한 일”이라면서 “최근 원인으로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은 정상 조건에선 배터리 후공정에 전부 걸러질 뿐만 아니라 발화 이전에 이미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지난달 24일 대구에서 충전이 완료된 채로 화재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 차량은 리콜 받은 차량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 직후 현대차는 코나 차주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통해 리콜에도 화재가 발생한 것에 대한 사과와 함께 “안전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과 함께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모두 15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현대차는 코나 전기차 7만7000대에 대한 BMS 업데이트 등 리콜을 실시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제가 올린 전자신문 전문입니다 저 위의 게시물과는 몇개의 기사가 없어지거나 달라진 내용이 보이시나요 제가 링크 한 곳 찾아가서 보세요 거기다가 전자신문 기사에는 분리막관련 내용도 있는데, 저위에 올리신데에는 없슴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현대차가 잇따른 차량 화재로 골머리를 앓아 온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를 전량 교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투입 비용만 1조원이 넘는다. 이번 달 국토교통부의 사고 원인 조사 발표에 따라 배터리 제작사 LG에너지솔루션과의 비용 분담 조율 과정이 남아 있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사실상 정해졌다. 현대차의 이 같은 결정은 시장 규정에 따른 행정 대응 수준을 넘어 도의상의 책임과 전기차 시대 선도 이미지를 쌓기 위해 내린 과감한 결단으로 해석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코나 일렉트릭의 배터리셀, 배터리팩,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를 추진한다. 리콜 조치에도 최근 차량 화재 사고가 또다시 발생하면서 내린 고객 우호성 결단이다. 배터리 교체 대상 차량은 지난 2017년 9월~2020년 3월 제작된 코나 일렉트릭 7만7000대다. 국토부 조사 결과 발표에 따른 책임 규명 과정이 남아 있지만 전량 교체는 배터리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과도 어느 정도 교감이 된 상태다. 배터리 전량 교체로 인한 약 1조원의 비용은 현재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국토부 결과 발표 등을 고려해 협의 후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자동차 자진 리콜 가운데 이 같은 부품 교체는 이번이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새 배터리 수급과 작업 시간의 현실 등을 고려하면 7만대가 넘는 차량의 배터리 전량 교체까지 최소 1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배터리 전량 교체를 포함해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국토부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어서 최종 결정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전자신문은 지난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보고서를 토대로 현대차의 배터리 안전마진 문제를 주원인으로 지목했다. <본지 2020년 10월 12일자 4면 참조> 국과수가 국회에 제출한 코나 전기차 화재사고(2019년 7월 강릉사고) 관련 법 안전 감정서 분석 결과 차량의 배터리시스템 안전마진이 3% 수준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는 코나 일렉트릭과 같은 LG 배터리를 쓰는 다른 전기차의 안전마진보다 적은 수치다. 그만큼 운영 조건이 넉넉하지 않은 셈이다.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리콜 이후에 발생한 차량 화재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배터리시스템 전량 교체는 바람직한 일”이라면서 “최근 원인으로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은 정상 조건에선 배터리 후공정에 전부 걸러질 뿐만 아니라 발화 이전에 이미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사고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지난달 24일 대구에서 충전이 완료된 채로 화재가 발생했다. 해당 사고 차량은 리콜 받은 차량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 직후 현대차는 코나 차주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통해 리콜에도 화재가 발생한 것에 대한 사과와 함께 “안전하게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해 10월 현대차, LG에너지솔루션 등과 함께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모두 15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현대차는 코나 전기차 7만7000대에 대한 BMS 업데이트 등 리콜을 실시했다. 박태준기자 gaius@etnews.com 제가 올린 전자신문 전문입니다 저 위의 게시물과는 몇개의 기사가 없어지거나 달라진 내용이 보이시나요 제가 링크 한 곳 찾아가서 보세요 거기다가 전자신문 기사에는 분리막관련 내용도 있는데, 저위에 올리신데에는 없슴 최근 코나 일렉트릭의 화재 원인으로 새롭게 제기된 배터리 분리막의 결함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는 게 외부 전문가 의견이다.
쌥쌥이님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02.15 20:04 언플 엄청 해대네요. 문제 있으면 교환하는게 맞는거죠 22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언플 엄청 해대네요. 문제 있으면 교환하는게 맞는거죠
이노님의 댓글 이노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02.15 21:16 밧데리에 이노 분리막 피해서 중국산 분리막 쓰다 배터리 화재 난거라는데 현대가 왜 부담함? 망상일기를 기사로 내보내네. 국토부 발표 기다리는게 날 듯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밧데리에 이노 분리막 피해서 중국산 분리막 쓰다 배터리 화재 난거라는데 현대가 왜 부담함? 망상일기를 기사로 내보내네. 국토부 발표 기다리는게 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