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분류

1회 충전에 900km 달리는 전기차 나온다…가솔린차 주행거리 압도

컨텐츠 정보

본문

32ce92d273aadb5e60f0014e66d70e6c_1701937089_1281.jpg

 

LG에너지솔루션과 카스트(KAIST) 공동 연구팀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메탈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카스트 공동연구팀은 현재 배터리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리튬온전지 대비 주행거리는 약 50% 더 늘리고, 충·방전 효율을 대폭 개선해 1회 충전에 900km 주행, 400회 상 재충전까지 기대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같은 1회 충전당 주행거리는 기존 전기차는 물론고 일반 가솔린 차량까지 압도하는 것다. 보통 중형기준 가솔린 차량의 경우, 1회 주유로 600km 안팎까지 주행 가능하다.


번 리튬메탈전지 원천 기술개발에 성공한 연구내용은 과학 학술지 ‘네처 에너지(Nature Energy)’에 게재됐다.


리튬메탈전지는 기존 흑연계 음극재를 리튬메탈로 대체하면서 기존 리튬온전지보다 음극재의 무게와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 특징다. 를 통해 에너지 밀도와 주행거리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대표적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로 꼽힌다.


기존 리튬메탈전지는 음극 표면에 리튬 결정체가 쌓고, 액체 전해액에 의해 지속적으로 부식 발생하는 단점 있었다. 액체 전해액은 전지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 사를 오가며 리튬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공동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붕산염-피란(borate-pyran) 기반 액체 전해액’을 적용해, 충방전시 리튬메탈 음극 표면에 형성되는 수 나노미터(㎚, 10억분의 1m) 두께의 고체 전해질 층(SEI)을 치밀한 구조로 재구성해 전해액과 리튬메탈 음극간 부식 반응을 차단하는 기술을 만들어냈다.


번 기술은 흑연 소재 사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흑연 공급망 리스크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정근창 LG에너지솔루션 미래기술센터장 부사장은 “액체 전해액을 사용하는 리튬메탈전지의 대표적인 난제를 해결해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링크
  •  



    관련자료

    댓글 4개 / 1페이지

     

     


    목록
    Total 3,147 / 40 Page
    RSS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새댓글


    배너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