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라렌F1 vs 페라리F50 마지막편

작성자 정보

  • 이종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6,379 조회
  • 3 댓글
  • 4 추천
  • 목록

본문

Note : 아래에 첨부된 사진은 본 글과 관계없는 사진임을 밝힙니다.
2편에 첨부되고 지금 올려지는 사진의 새시넘버는 #028이며 소유주는 미국의
Clifford Meltzer라는 사람의 소유이고 로스엔젤레서 Gatos라는 지역에 산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이벤트는 어떤 이유로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전혀 알수가 없군요.
수 많은 수퍼카들이 이용 되었습니다. 밑에 그 전체 이미지를 올릴께요.


핸들링을 나두고서 콘트롤 하기가 더 쉬운건 페라리 이기 때문에, 차가 어떻케
반응할지를 확실히 케치 할 수 있고 인지 할 수 있을 정도로 점진적으로 반응한다.

두 차량이 ABS가 없는게 믿겨지지가 않고 브레이크계통이 눈이 치켜 올라갈 만큼 강하지만,
모든 것이 잘 연결이되어서 표면이 먼지가 있거나 축축하다 할지라도 그립을 다시 얻는데
거의 압력을 필요치 않는다. 그리고 너무 정교하기 때문에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

fa64963d.jpg

멕라렌의 서스펜션은 좀 더 잘 갈고 닦여져 있다. 그리고 견고하다.
그들이 날때(드라이빙중에) 그러한 댐핑 콘트롤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두 차량의 서스가
단단한 이유이다. 하지만 멕라렌의 프론트 서스펜션은 정교한 치수로 피봇접합된 채 특별한
서버프레임에 탑재되어 있다. 프론트 휠이 작은 범퍼를 때릴때, 충격을 흡수 하기 위해
휠자체는 뒤로 움직여진다. 하지만 타이어 접지면은 그대로 있고 전혀 이동이 없다.
그래서 핸들링이 정교하게 작동하므로 어더스티어가 거의 없다.

fa7a056c.jpg

페라리는 전혀 그렇치 않다. 단단한 둥근 조인터가 서스펜션 전반에 사용되어 있다.
하지만 그렇케 까지 거친 수준은 아니다. 긴 위시본은 많은 범퍼의 움직임을 만든다.
그래서 그 문제점이 뭐든지 간에 일반적 사소한 문제점은 거의 없다. 두 차량은
완만한 승차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페라리는 지상고가 낮고 수시로 밑면이 로드와 부딪쳐 마모가 생긴다.
그리고 많은 소음이 발생한다. 그리고 타이어에도 많은 소음이 발생한다. 페라리는
상태가 나쁜 도로를 달리기에 적합하지 않코 또한 장거리 운전에도 또한 맞지 않다.
시끄럽고 떠겁고 지치게 만든다. 또한 도어를 잠궈도 소용이 없어서 주차를 할 수가
없다고 봐야 겠다. 공공장소에 이 자본자산을 남기고 편안해 한적이 없다고 한다.

하지만 멕라렌은 지상고가 높고 주차도 가능하다.
고속도로에서 부터 빌리거나 정복하고자 하는 고지도로의 레이스트렉까지 무난하게
속도를 낼 수가 있다. 타이어의 소음이 있지만 반면에 놀라울 정도로 잘 다저져 있다.
수납공간도 또한 있다. 이 부분은 페라리가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추가 조수석이 있으면 페라리 보다 더 작다.
멕라렌은 전 수퍼카들과는 매우 다르다. 모두다 더이상 많은 파워가 실리고 더 적당한
현가장치에 좀 더 가시성이 좋은 차량을 만들기 힘들다고 주장하고 있다.
F1은 6.1리터의 놀라운 근육보다는 훨씬 더 지능적이다. 우수한 결과를 가져온 엔진이고
의심할 여지 없이 그리고 전례없이 가장 대단한 엔진이다. 전체적 차량 수준은 말그대로
awesome!! 멕라렌의 진정한 심장을 느끼기엔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아마 결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기에 대한 답은 물론 멕라렌에 있는게 아니라 우리
자신의 케릭터에 있는 것이다.

fa7a046a.jpg

페라리는 매우 다르다. 좀 더 가공하지 않은 아마도 좀 더 가공되지 않은 아마도 좀더
"toy" 같은 느낌이 들었다. 만약 그렇케 빠르지 않았더라면 그 차이점은 확연히 드러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좀 더 이해가 가는 차량이다. 좀 재미있는 운전 경험을 갖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차량이 아닌가 쉽다. 하지만 이 이벤트에서 필자가
꼭 밝혀 두고자 하는 것은 승자를 찾고자 하는 것이 아니였고 승자는 없었다.

-The end-


 



관련자료

댓글 3

최주영님의 댓글

  • 최주영
  • 작성일
맥라렌에 대한 정도 감사해요 ^^

박성준님의 댓글

  • 박성준
  • 작성일
다음엔 어떤 글을 올리실려나?<BR>기대됩니다.!!!!!!<BR>수고하셨네요.<BR>그나저나 이종석님 다리 다 나아서 퇴원하면 일하느라 바빠서 글 못올리시는 것 아니겠지요.

이종석님의 댓글

  • 이종석
  • 작성일
아직 완전회복까지 약 2달 정도 되니깐 그때까진 계속 올려야져.<BR>재미있게 읽어 주시니 고마울 따름이죠. 멕라렌의 1명의 팬이라도 있는한 계속 올릴 예정. 어제 다 번역 작업 했는데, 이번엔 에도니스vs 멕라렌 F1 GTR임니다. 기다려 주세여.

 

 


전체 347 / 6 페이지
RSS
  • Dodge Hennessey Viper 시리즈.. 댓글 1
    등록자 유호재
    등록일 09.21 조회 19254 추천 0

    2000년도에 개발된 Dodge Hennessey Viper Venom 800TT는 최고속도가 378km/h 에 달하고 제로백이 2초대에 0-4…

  • 부가티 닮은 레바논 전기 스포츠카 등장 댓글 3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5.03 조회 11435 추천 0

    자동차의 동력원이 전기차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신생 업체들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구조가 간단하고 아웃소싱이 쉬운 장점 때문에 진입장벽이 …

  • 랭글러 시장 뛰어들 이탈리아 브랜드, ICKK 댓글 5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7.01 조회 7796 추천 1

    개성을 추구하는 구매자들이 많아지면서 요즘 지프와 랜드로버 등 오프로드 SUV 전문 메이커들의 분위기가 좋습니다.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몰리는…

  • 미국 자동차 문화의 예술혼 Hot Rod 댓글 2
    등록자 전만우
    등록일 09.25 조회 22310 추천 0

    핫로드(Hot Rod)란 무엇인가 핫로드란 기본적으로 고속 주행이 가능하게 개조된 자동차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는 보통 차를 개조하는 것이 아…

  • 봄맞이 차량 점검법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3.11 조회 9450 추천 0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엔진의 마모가 타 계절보다 심하고 운행 전후의 온도차이가 커 차량 곳곳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온의 오일과 액…

  • 주행거리에 따른 자동차관리 A to Z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4.22 조회 9783 추천 1

    자동차 성능이 좋아지고 내구성이 높아지면서, 고장 때문에 자동차를 바꾸는 주기는 점점 길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를 오래 타려면 그만큼 운전자…

  • [감성칼럼] (1부) SUV 제왕은 나다! 벤테이가, 르반떼 출격.. "레인지로버, 긴장해!" 댓글 2
    등록자 ZOOT
    등록일 04.21 조회 11447 추천 0

    안녕하십니까! 자동차 감성칼럼니스트 주트(ZOOT) 인사드립니다. 금일 칼럼은,SUV 제왕이라 불리우는랜드로버 레인지로버를 향한 두 거물.. …

  • Neonian Driving School
    등록자 권동문
    등록일 10.12 조회 36367 추천 0

    10월 둘째주 주말 문막 소제의 발보린 파크에서는 동호회 창립 10주년을 맞는 클럽 J2 회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드라이빙 스쿨이 열였었다. 클럽…

  • 국내 데뷔 임박한 르노삼성 QM3 후속, 플러그인 나올까? 댓글 1
    등록자 오토스
    등록일 01.21 조회 12248 추천 1

    지난해 신차가 없어 어려움을 겪었던 르노삼성이 올해에는 작정하고 다양한 신차를 투입할 계획입니다. 먼저 요즘 많이 오르내리는 XM3가 나옵니다.…

  • 탑기어 제레미 클락슨의 부가티 베이론 16/4 시승 및 뒷 이야기 댓글 2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11.30 조회 37441 추천 1

    최근에 영국 탑기어 사회사 제레미 클락슨이 부가티 베이론에 16/4를 시승하고 쓴 기사가 11월 27일짜 타임즈온라인 영국 인터넷 뉴스에 올라온…

최근글


새댓글


배너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