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6 하이브리드 품고 등장한 페라리 296 GTB

작성자 정보

  • 오토스파이넷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페라리가 새로운 2인승 슈퍼카를 공개했다. 관심은 한동안 맥이 끊겼던 V6 유닛을 품었다는 점과 전기모터를 더했다는 것. 이름에 스펙에 대한 힌트가 있다. 296 GTB로 불리는데, 2.9L(정확히는 2,992cc)의 배기량과 6기통의 숫자에 그란투리스모 베를리네타(GTB)를 붙여 완성한 이름이다. 

  

파워 트레인에 큰 변화가 있지만, 스타일은 페라리답다. 이론적으로 가장 잘 달릴 수 있는 미드십 후륜구동(MR)의 전통을 따랐다. 헤드램프 부근의 얼굴은 SF90 스트라달레를 닮았지만, 전체적으로는 콤팩트하고 모던한 느낌의 라인들이 큰 줄기를 만들었다. 

  

가장 콤팩트한 페라리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04_8641.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05_1151.jpg

 

짧은 휠베이스(2,600mm)는 운전의 재미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는 증거다. 지난 10년간 페라리가 생산한 모델 중 가장 짧다. 페라리는 역동성을 위해 가벼운 섀시와 짧은 휠베이스를 먼저 생각했고 거기에 맞는 파워 트레인을 구현하다 보니 V8 대신 V6 엔진을 사용할 수 밖 없었다고 설명했다. 

  

역사기 깊은 브랜드인 만큼, 과거 모델과의 연결고리를 감추지 않았다. 예컨대, B 필러와 리어 펜더의 독특한 외형, 우아한 곡선에서 끝을 살짝 올린 꼬리 형태는 1963년 250 LM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투구 스타일의 사이드 윈도 커브 형태도 독특한 개성을 자아낸다. J50과 P80 등에서 엿볼 수 있는 모습인데, 양산 모델까지 이어졌다.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24_0954.jpg

 

단언컨대, 전 세계의 많은 자동차 회사 중에 페라리만큼 기능과 심미성을 두고 밀당을 잘하는 곳도 없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다. 첫인상도 아름답지만, 라인을 보면 철저하게 기능적이다. 공기역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존재는 리어 액티브 스포일러다. 고속에서 더 많은 다운 포스를 만들어 핸들링과 제동 특성을 극대화한다. 이 액티브 에어로의 콘셉트는 458 스페치알레 이후 페라리 베를리네타가 써온 것과 정반대의 형태다. 기존에는 디퓨저의 플랩을 하이 다운 포스 구성이 기본이고 속도를 높이면서 로우 드래그 구성으로 바꾸어 최고 속도에 유리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번엔 스포일러가 작동하는 순간 더 큰 다운 포스가 만들어진다. 즉, 평상시엔 꼬리 상단에 숨어 있다가 가속도가 임곗값을 초과하면 스포일러가 튀어나와 더 큰 다운 포스를 만든다. 수치적으로 리어 액슬에 최대 100kg의 다운 포스를 추가할 수 있다. 덕분에 운전자는 고속에서 한층 안정적인 코너링과 급제동을 걸 수 있다. 최고 속도보다는 코너링 능력에 조금 더 초점을 맞췄다.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43_8549.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44_0795.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44_3964.jpg

 

실내의 분위기는 풀 디지털로 이끌 돼 큰 틀은 SF90부터 싹튼 개념을 일관성 있게 살렸다. 다만, SF90이 첨단 기술의 위용을 뽐내는데 치중한 반면, 296 GTB는 미니멀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검은색으로 분위기를 압도하고, 운전석에 앉아 스타트 버튼을 눌러 파워 트레인을 깨우는 순간, 서서히 생명이 태어나듯 인체공학적으로 뛰어난 풀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모습을 드러낸다. 

  

풀 디지털 클러스터 좌우로 에어벤트를 자연스럽게 연결해 마치 바이크에 오른 느낌을 준다. 운전에 집중하라는 의도적인 설계다. 동반석 앞에도 모니터가 있어, 드라이버와 함께 운전의 즐거움을 나눌 수 있다. 얇지만 높은 센터터널에는 고전적인 시프트 게이트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변속기 조절 장치를 배치했고 페라리 말 배지 안으로 키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V8 능가하는 파워트레인

  

앞서 말한 것처럼, 296 GTB의 파워 트레인은 V6 엔진과 전기모터의 합작품이다. 2014년 이후의 F1 머신에 줄곧 ‘V6 하이브리드’ 유닛이 사용되고 있으니 페라리 엔지니어들에게 낯선 기술은 아니다. 다만, 페라리가 양산차에 적용한 건 SF90 스트라달레가 처음이었고 이번이 두 번째이니 일반인들에게 새롭게 느껴지고 있다.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59_5528.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59_7945.jpg

 

SF90과 하이브리드 유닛을 쓴다는 건 공통점이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다. 기함의 품격을 위해 1,000마력짜리 최강의 파워와 AWD를 접목했던 SF90과 달리, 296 GTB는 밸런스를 강조해 운전의 즐거움을 노렸다. 663마력의 엔진과 167마력의 전기모터를 합쳐 830마력의 시스템 출력을 낸다. 최대토크는 75.5kgm(6,250rpm). 2.9초 만에 100km/h까지 도달할 수 있고, 최고 속도는 330km/h에 달한다. 

  

파워트레인 레이아웃도 차이가 있다. SF90은 엔진으로 뒷바퀴를 굴리고, 전기모터로 앞바퀴를 굴렸다. 반면, 296 GTB는 엔진과 모터를 하나로 결합해 미드십으로 얹었다. 이는 TMA 액추에이터를 통해 제어되며 마치 하나의 유닛처럼 움직인다. 따라서, 움직임은 V8 엔진을 미드십으로 얹어 후륜을 구동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기존 V8 페라리와의 이질감을 줄이면서 역동성을 살리기 위한 선택이었다.

  

새로운 엔진은 뱅크각(실린더의 교차각)이 120도인 형태다. F1 레이스 카인 156(1961년)에서 뱅크각 120도의 터보 엔진을 사용했었지만, 페라리 양산 모델에 투입한 건 처음이다. V8에 쓰던 90도 뱅크각을 120도로 벌려 엔진의 무게 중심을 낮췄다. 또한, 최근의 유행에 따라 뱅크 사이에 터보 차저를 배치한 형태다. F1 레이스 카인 126 CK(1981년)에 적용한 바 있는 기술인데, 응답성을 줄이고 열관리에 대한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공간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형태다. 

  

IHI에서 공급하는 터보 차저는 V8 용보다 압축기 휠의 직경을 5%, 터빈 휠의 직경은 11% 줄였다. 이는 회전 질량의 감소로 이어져 터보랙을 줄이는데 효과를 줬다. 성능뿐만 아니라 효율도 좋다. SF90에 사용한 연소실 기술을 써 높은 수준의 와류가 형성되도록 했고, 350바의 분사 시스템을 적용해 최상의 연료 효율을 얻으면서 CO2 배출량을 줄였다. 흡배기 덕트를 새로 설계해 체적 효율을 극대화한 점도 눈에 띈다.

  

여기에 전기모터를 붙여 장점을 극대화했다. 제아무리 응답성이 뛰어난 엔진이라도 가속페달을 밝고 흡기가 실린더 내로 빨려 들어가는 순간, 관성 저항이 생겨 반응까지 뜸 들이는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모터는 전기 신호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엔진의 빈틈을 모터가 채워주는 것이다. 덕분에, 운전자의 신호에 지체 없이 반응할 수 있다. 

  

세계 최초로 적용된 6웨이 섀시 다이내믹 센서(6w-CDS)도 빠르게 달리면서 주행 완성도를 높이는데 힘을 보탰다. 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ABS 에보 컨트롤러와 전동 파워 스티어링, 그립 추정의 통합 제어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낼 수 있다.

  

사운드도 페라리 팬에게 아주 중요한 요소다. V8 대신 V6 유닛을 얹은 건 용서해도 페라리 사운드를 포기하는 건 용납지 않을 팬들이 많을 것이다. 이를 누구보다 잘 아는 페라리 엔지니어들이라 V8 터보와 V12 자연흡기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개발 단계에서부터 ‘피콜로 V12’라는 애칭으로 부를 만큼 한계 회전수인 8,500rpm 부근까지 페라리 특유의 고주파 사운드를 내도록 설계했다. 배기 매니폴드와 싱글 테일 파이프가 압력파를 증폭하며 자극적인 사운드를 들려준다. 이들은 스틸과 니켈의 합금인 인코넬합금으로 만들어 내열성도 좋다.

  

새로운 파워 트레인은 8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와 짝을 이룬다. SF90의 것을 손질해 얹었다. 엔진의 특성에 맞춰 기어비를 조정해 가속성을 개선했다. ‘eDrive’ 모드를 선택하면 배터리 전원과 모터만으로 최대 25km를 주행할 수 있다. 이때 낼 수 있는 최고 속도는 135km/h.

  

트랙 주행용 아세토 피오라노 패키지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78_8987.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79_2142.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879_4633.jpg

 

GT 적인 성격이 가미되었다고는 하나 페라리를 구입해서 여행할 때나 쓰는 오너들은 거의 없을 터. 이런 점을 고려해 스페셜 옵션도 마련했다. SF90 스트라달레와 마찬가지로 극한의 출력과 최대 성능을 경험하고 싶은 고객을 위한 것인데, 레이스의 노하우를 반영한 전용 댐퍼, 10kg의 다운 포스를 추가해 주는 카본 프런트 하이 다운 포스 파츠를 비롯해 경량화 옵션(전체 12kg 경감)과 에어로 모디피케이션(공기역학 요소 변경)을 포함한 아세토 피오라노(Assetto Fiorano) 패키지다. 이를 장착하면 250km/h로 달릴 때 발생하는 다운 포스가 360kg에 달해 어지간한 고속에서도 미끄러짐 없이 끈적한 그립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패키지를 골라야 250 르망에서 영감을 얻은 스페셜 색상의 보디 컬러를 주문할 수 있다.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900_8656.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901_3513.jpg

 

56be59674d176f86b0f802d040795952_1625547901_5979.jpg

 

페라리는 296 GTB에 대해 과거에 얽매인 모델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동의한다. F8 트리부토의 후계자도 아니다. 과거에서 영감을 얻어 미래를 여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래간만에 등장하는 페라리의 V6 모델인 동시에 전기모터를 더해 운전의 재미를 극대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 페라리로선 모험의 시작인 동시에 성장을 위한 새로운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성공할까? 시장의 반응이 어떻게 흐를지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이 쏠린다.

 



오토스파이넷 레벨 46
97%

관련자료

  • 서명
    자동차를 좋아하는 모든 분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포인트 쌓으시면 주유권 드려요 ^^
댓글 1

전자치킨님의 댓글

  • 전자치킨
  • 작성일
잘 읽었습니다~ GT가 장거리주행에 특화된것이긴하겠지만.. 그냥 페라리니까 잘달릴것같아요..
16 럭키포인트 당첨!

 

 


전체 1,676 / 6 페이지
RSS
  • 자율주행 전기차, 닛산 IDS 컨셉카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0.29 조회 12110 추천 0

    닛산이 IDS 컨셉카를 통해 리프의 후속편을 예고했다. 미래차가 갖춰야할 큰 줄거리 둘을 하나로 묶은 것. 첫째는 친환경을 대변하는 전기 파워트…

  • 매력적인 트랙 토이, 포르쉐 카이맨 GT4 클럽스포츠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1.21 조회 11863 추천 0

    포르쉐가 클럽 레이싱에 어울리는 카이맨 GT4 클럽스포츠를 18일(현지시간) LA오토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카이맨 GT4 클럽스포츠는 모…

  • 메르세데스-AMG C63과 C63 S 쿠페 나이트패키지 추가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1.08 조회 15523 추천 0

    메르세데스-AMG가 신형 C63 쿠페와 C63 S 쿠페 오너를 위해 새로운 선물을 마련했다. 이름하여 나이트패키지(Night Package). …

  • 재규어 최강, F-타입 SVR 등장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2.19 조회 9502 추천 0

    재규어 대량생산 모델 중가장 강력한 모델이 등장했다.F-타입의 고성능 버전인 F-타입 SVR이 2016 제네바 모터쇼에등장한다. 재규어 랜드로버…

  • 770마력 황소, 람보르기니 센테나리오 공개 댓글 4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3.01 조회 12107 추천 0

    람보르기니가 창업자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한정판 센테나리오(Lamborghini Centenario)를 2016 제네바…

  • 차세대 럭셔리 SUV, 링컨 내비게이터 컨셉카 댓글 1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3.23 조회 12868 추천 0

    링컨이 2016 뉴욕 모터쇼를 통해 차세대 풀 사이즈 SUV를 예고하는 내비게이터 컨셉트(Lincoln Navigator Concept)를 선보…

  • 중국에만 팔기 아까운 현대 베르나 컨셉카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4.25 조회 33488 추천 0

    현대차가 2016 베이징모터쇼에 선보인 중국형 신형 ‘베르나’ 컨셉은 중국 20~30대 젊은 세대를 타깃으로 만들어진 도심형 세단으로, 중국의 …

  • 캐딜락 미래 플래그십 예고, 에스칼라 컨셉트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8.21 조회 9657 추천 0

    캐딜락은18일(미국 현지시각),페블비치 콩쿠르 델레강스(Pebble Beach Concours d'Elegance)에서 캐딜락 디자인의 혁신과 …

  • [파리모터쇼] 쌍용차 렉스턴 후속 LIV-2 컨셉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9.29 조회 12017 추천 0

    쌍용자동차가 파리모터쇼를 통해 내년 초 출시를 앞둔 Y400의 양산형 콘셉트카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는 등 유럽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고 29일 밝…

  • 폭스바겐 다목적 컨셉카, I.D. 버즈 댓글 2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1.10 조회 11280 추천 0

    폭스바겐은 E-모빌리티(Electric Mobility) 시대를 맞이해 I.D. 버즈 컨셉카를 공개했다. 새 시대를 위한 I.D. 버즈는 마이크…

최근글


새댓글


배너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