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V12 시대의 마지막을 고하는 람보르기니 인벤서블 / 오덴티카

작성자 정보

  • 쿰페르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d652c120933294f2eabd7041140059cdfba071d35usi.jpg54bb2fbe96ef09d4abe98a0dfe184106ab6507127a4k.jpge0a2e99ee44218b25f8a5b2c376621f24166df7cx48v.jpg02d0463a6f91faee107bf4df39edcfcbd0acd384cfer.jpgbafa2b7285b2bb131cce5f1b65bf1d143ceb1a98742n.jpg12bfd5bb6e79d6f10222eef7e97dd2ca9a00a448espf.jpgeb2112b2874095ac59f64caff3ffa17d95a550a9f8tg.jpg4cac6b85a729f171ec0fd80298b8ab16ad3afebdmnt8.jpg9172dd22a9ce3ea74c66c90333cf05396af61d898bnk.jpg04903b7e8489d8b52a8846bfe74acfdb317bef7d4wjo.jpgd7330e8cb617478477c97b70b227d964b707b58ag5q8.jpg3e235ea6db56c63675fe6315acbfc89f5ba16059623l.jpge3f9497a0e093aaf6267cd2aba856ab20ed54dd8ga0s.jpg683358d5e5949487003f1c7c344e58692722c22bgrkv.jpgbfc4e4ee3fb4e0777ec5ed68a1e5bf0d1cc0684cuqf6.jpgd9423ee6691f3635dae0807785f0ac0dddf8056axc89.jpg

람보르기니가 하이브리드로 넘어가기 전, 자연흡기 V12 엔진의 순수시대를 기리기 위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결과물은 인벤서블(Invencible) 쿠페와 오텐티카(Autentica) 로드스터에요. 스페인어로 '불멸, 무적', '진짜, 오리지널 '을 뜻합니다. 컨셉에 딱 맞는 이름이네요.

 

원오프 모델로 만들어진 두 대의 뼈대는 아벤타도르입니다. 섀시는 물론이고 바디의 전체 틀도 아반타도르에서 가져왔죠. 하지만, 세부적인 스타일은 지금까지 유지해 온 람보르기니 유전자를 총동원했습니다. 그중에서도 보닛과 범퍼, 수직을 강조한 스플리터 등 에센자 SCV12의 느낌이 많이 나네요. 리어 펜더는 베네노와 비슷하고 그밖에 시안 FKP37, 카운타크 등의 디자인 요소도 눈에 띕니다.

 

헤드램프를 비롯해 보디 곳곳에 심은 'Y'자형의 디자인도 람보르기니답습니다.  쐐기형의 옆라인은 이야기하지 않아도 한눈에 람보르기니 모델임을 알 수 있죠. 앞뒤 펜더를 부풀리고 잘록하게 안으로 밀어 넣은 도어 라인 때문인지 지금까지 나온 람보르기니 모델 중 가장 섹시한 모습입니다. 배기는 인코넬을 사용해 3가닥으로 뽑았네요. 

 

실내는 깔끔합니다. 송풍구는 3D 프린터를 이용해 육각형으로 찍어냈고, 대시보드에는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되는 요소들을 최소화했습니다. 다른 거 신경 쓰지 말고 오직 운전에만 집중하라는 것이겠죠. 카본으로 감싼 클러스터는 전용 디자인의 풀 디지털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쿠페는 빨간색과 카본룩의 요소를 잘 버무렸고 로드스터는 카본 파이버를 많이 노출해 역동성을 강조했습니다. 

 

V12 6.5리터 자연흡기 780마력입니다. 언제나 그렇듯 차고 넘치는 파워입니다. 여기에  7단 ISR 변속기와 AWD를 조합했습니다. 공식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아벤타도르 이상의 성능을 예상할 수 있겠네요.

 

람보르기니에 따르면 곧 신형 V12 파워 유닛을 탑재한 모델(아마도 아벤타도르 후속일 듯)이 등장합니다. 이는 V12 엔진과 전기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유닛이 되죠. 오늘 소개한 두 모델은 이렇게 등장할 새로운 챕터와 과거의 전통을 잇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쿰페르트 레벨 26
95%

관련자료

  • 서명
    오토스파이넷 2기 운영진입니다. 앞으로 많은 자료 올리겠습니다 ^^ 제 블로그는 http://weeklyca.blog.me/
댓글 3

ㅇㅇ님의 댓글

  • ㅇㅇ
  • 작성일
디자인 진짜 딱 잼민이 픽 디자인이네 ㅋㅋ 개징그럽네

깡칠이2님의 댓글

  • 깡칠이2
  • 작성일
아래턱이 과하게 쳐진듯...  짜피 못 가질거 ...
9 럭키포인트 당첨!

ㅇㅇ님의 댓글

  • ㅇㅇ
  • 작성일
형광 초록색 데칼보니까
법인전용번호판 달면 이쁘겠네

 

 


전체 347 / 33 페이지
RSS
  • Koenigsegg CCGT, CCXR 댓글 3
    등록자 최택진
    등록일 03.05 조회 41274 추천 0

    Koenigsegg는 3/6일부터 시작되는 이 모터쇼에서 두 가지 파생 모델과 2007년형 CCX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CCGT는 GT1 레이스…

  • Lamborghini Gallardo Superleggera 댓글 1
    등록자 박태수
    등록일 03.05 조회 26600 추천 0

    2007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람보르기니사는 5.0리터 V형 10기통 엔진을 탑재하고 베이비 람보르기니로 불리우는 갈라르도(Gallardo)의 스…

  • 과연 멕라렌 F1 디자이너, 고든은 베이론을 어떻게 볼까? 댓글 4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8.01 조회 47701 추천 1

    사진이 작아지면서 고든의 모습이 약간 어색한 표정으로 나왔는데 원래는 입가에 미소를 뛰고 있습니다. 그럼 고든의 세계에 빠져 볼까요?.. 여러분…

  • 멕라렌은 소유되는 것이 아니라 맘속에 간직 되는 것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6.24 조회 44241 추천 0

    먼저 이 시승기에 등장하는 차량에 대한 알아 보자면 새시넘버 #040으로 1995년 34번째 마그네슘 은색으로 만들어 졌습니다. 하지만 현 오너…

  • BUGATI EB110 관련 글 번역입니다. 댓글 1
    등록자 최택진
    등록일 04.06 조회 40532 추천 0

    AutoZine의 글을 번역해봤습니다. Bugatti EB110 (1992) 1947년 에토레 부가티가 사망한뒤, 부가티는 급속히 쇠락하여 결국…

  • Koenigsegg 홈페이지 갱신....(CCX정보) 댓글 4
    등록자 최택진
    등록일 03.01 조회 36138 추천 0

    Koenigsegg 홈페이지에 신형 CCX와 관련항 정보(광고?)가 떴더군요. 대강 요약해 보자면... 앞범퍼 디자인을 바꾸어 2.5mile/h…

  • 고든 머레이의 또다른 작품 로켓(Rocket) 댓글 3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2.27 조회 32618 추천 1

    멕라렌 에프원 프로젝트가 끝나자 고든의 머리속에 맴돌던 디자인의 철학인 경량화와 밸런스를 형성화 하기 위한 작업에 몰두 하게 됩니다. 그것이 바…

  • Aerodynamics에 의한 racing car 사고들... 댓글 5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23 조회 36181 추천 1

    98년 미국 르망에서 포르세 GT98이 작은 언덕을 내려 오자 마자 공중제비를 하고 부서지는 사고를 보셨을 겁니다. 이외에도 99년 메르세데스 …

  • 05.12.11 Top gear - Bugatti Veyron 댓글 14
    등록자 김병철
    등록일 12.14 조회 48467 추천 0

    드디어 부가티가 탑기어에서 공개되었습니다. 기대했던것 만큼 자세하게 다루지는 않았더군요. 기술적인 내용은 거의 소개가 되지 않았고, 부가티의 달…

  • 탑기어 제레미 클락슨의 부가티 베이론 16/4 시승 및 뒷 이야기 댓글 2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11.30 조회 37509 추천 1

    최근에 영국 탑기어 사회사 제레미 클락슨이 부가티 베이론에 16/4를 시승하고 쓴 기사가 11월 27일짜 타임즈온라인 영국 인터넷 뉴스에 올라온…

최근글


새댓글


배너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