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리비안 전기 픽업에 국내기업 시트 장착한다

작성자 정보

  • 오토스파이넷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현대트랜시스가 북미 전기차시장에서 대규모 시트 수주에 성공했다.


현대트랜시스는 5월 22일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과 1조 원 규모에 달하는 시트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공급기간은 2020년부터 2027년까지다. 국내 자동차부품사가 선진 전기차시장에서 시트를 수주한 모범 사례로 꼽힌다.


현대트랜시스는 리비안과 작년 12월 시트 공급을 확정하고 구체적인 공급방안을 협의하여 중형 전기차 픽업트럭 R1T(2020년 하반기 출시 예정)와 중형 SUV R1S(2021년 하반기 출시 예정)에 들어갈 시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미시건에 본사를 둔 리비안은 2009년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레져 스포츠용 픽업트럭과 SUV를 개발해 온 기업이다. 지난 2월 미국 글로벌 IT 기업 아마존으로부터 7억 달러(약 8,37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미국시장 픽업트럭 판매 1위 업체인 포드로부터 5억 달러(약 5,975억 원) 투자를 추가로 확보하여 테슬라와 함께 최근 가장 주목 받는 전기차 전문기업이기도 하다. 리비안 차량은 한 번 충전으로 최대 640km 주행이 가능하며, 2.6톤에 육박하는 픽업트럭 R1T는 정지 상태에서 시속 96km(60마일)까지 단 3초 만에 도달 가능하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2018년 전년 대비 80% 이상 수요가 증가하며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그렇기에 이번 수주는 현대트랜시스가 향후 전기차 시장에서 중장기 시트공급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구축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현대트랜시스의 이번 수주 성공 요인은 ▲ 전기차 최적화 설계 역량 제고 ▲ 글로벌 상시 대응 체계 구축 및 해외 R&D거점 확대 ▲ 현지 전문가 영입 통한 맞춤형 개발로 압축된다.


▲ 전기차 최적화 설계 역량 제고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배터리 무게만 200kg에 달해 부품 전반의 경량화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에 자동차부품업계에서 전기차 시장 진출 여부는 미래 기술력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현대트랜시스는 R1T, R1S 차종의 알루미늄 차체와 구조물에 최적화된 시트 프레임을 개발하는 동시에, 과거 슬림시트를 비롯 미래 자율주행 컨셉시트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온 디자인 역량을 동원하여 스케이드보드 타입의 차체 플랫폼과 조화를 이루도록 했다.


▲ 글로벌 상시 대응 체계 구축 및 해외 R&D거점 확대

국내 본사 또한 글로벌 전담 설계조직을 구성하고, 국내 시트설계 전문가들을 미국 현지에 파견하여 고객사의 요청사항에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한 편, 본사-법인 간 상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운영하여 신속한 정보전달과 의사결정을 가능케 했다. 이에 더해 지난 5월 17일에는 인도에 시트연구소를 별도로 설립하여 동탄시트연구센터와 미국 미시건법인과 함께 글로벌 맞춤형 시트 R&D역량을 더욱 고도화하기도 했다.


▲ 현지 전문가 영입을 통한 맞춤형 개발

미국 현지 영업능력을 강화한 점도 주효했다. 2017년 미시건법인 영업총괄임원으로 벤츠 북미연구소 부사장 출신 앨런 와그너(Alan Wagner)를 영입하여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북미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현대트랜시스의 신속한 설계 대응력을 강조하며 현지 홍보에도 꾸준히 힘써왔다.


앨런 와그너(미시건법인 영업총괄임원)는 "자동차가 발전해 온 모습을 현장에서 평생 지켜봐 온 전문가로서 현대트랜시스와 함께 전기차 시대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만한 자동차시트 제품을 선보여 매우 기쁘다."며, "북미시장에서 더 많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영향력을 키워가는 한 편, 내부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일에도 꾸준히 힘써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트랜시스는 이번 수주를 토대로 향후 자율주행차의 미래기술을 선도해 나아갈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 이번 프로젝트의 개발 프로세스를 체계화하여 북미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전기차 시트 수주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번 수주 외에도 현대트랜시스는 글로벌 완성차를 비롯 다수의 전기차 스타트업 회사들과 긍정적인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올 한 해를 글로벌 전기차 시트 공급 전문사로서의 위상을 확보해 나아갈 원년으로 삼을 것이라 밝혔다.


이에 더해 현대트랜시스는 오는 23일 동탄시트연구센터 본사에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비전공감토크를 개최하고 2022년까지 12조 원 매출 달성 의지를 공표할 것을 밝혔다. 이 자리에서 현대트랜시스는 새로운 비전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창조적 리더 (Creative Leader for Mobility Innovation)’를 선포하고, 전동화 파워트레인과 자율 주행차용 시트를 통해 모빌리티 시장의 핵심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아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2022년까지 글로벌 완성차 판매 비중을 22% 수준으로 확대하여 현재 7조 규모의 매출액을 12조 원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 Creative Technology (미래모빌리티 기술력 확보), ▲ Creative Value(경영효율성 제고 및 가치창출), ▲ Creative Growth (글로벌 판매 확대를 통한 성장)를 3대 발전전략으로 공표할 예정이다.

 



오토스파이넷 레벨 46
97%

관련자료

  • 서명
    자동차를 좋아하는 모든 분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포인트 쌓으시면 주유권 드려요 ^^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하이튜닝 ◀ 테슬라 사이버트럭 오프로드 튜닝 버전

▶ 하이튜닝 ◀ 맥스크루즈 후속? 싼타페 롱버전

▶ 하이튜닝 ◀ 올 뉴 싼타페 갤로퍼 에디션

▶ 하이튜닝 ◀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사진

 


전체 2,371 / 88 페이지
RSS
  • 쌍용차, KG 모빌리티로 사명 변경... KR10, O100, F100 등 개발 박차 댓글 6
    등록자 뉴스랩
    등록일 03.22 조회 17485 추천 0

    쌍용자동차가 KG 모빌리티로 회사명을 변경하고 미래 모빌리티(Mobility) 기업으로의 변화를 위한 첫발을 뗐다.쌍용자동차는 22일 평택 본사…

  • 대구시, 관광객 위한 오픈탑 2층버스 도입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3.23 조회 8023 추천 0

    대구시는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관광을 즐길 수 있도록 도심순환노선을 전면 개편하고 매력적인 콘텐츠인 타요 캐릭터가 래핑된…

  • 9월 수입차 20,381대 신규등록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0.06 조회 15153 추천 0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9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가 전월 보다 12.0% 증가한 20,381대로 집계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9월 등록대수…

  • 한국닛산, 2016 연말 고객 감사 프로모션 실시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2.08 조회 8317 추천 0

    한국닛산은 2016년을 마감하며 올 한 해 고객들의 큰 사랑에 보답하는 의미로 12월 대표 모델 고객 감사 프로모션을 실시한다.최근 가솔린 차량…

  • 르노, 13/15인승 마스터 버스 출시... 3,630만원부터 댓글 2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6.03 조회 8787 추천 0

    유러피언 미니버스 르노 ‘마스터 버스(Master Bus)’가 한국에 상륙했다.이번에 출시한 르노 마스터 버스의 가장 큰 특징은 안전성과 승차감…

  • 벤츠, 올해 S-클래스 등 9종 신차 국내 출시 댓글 1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1.28 조회 8853 추천 0

    2021년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핵심 브랜드인 메르세데스-벤츠와 함께 궁극의 럭셔리를 제공하는 메르세데스-마이바흐, 고성능 메르세데스-AMG…

  • 포르쉐, 타이칸 포뮬러 E 공식 세이프티 카 공개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1.20 조회 4628 추천 0

    포르쉐가 ABB FIA 포뮬러 E 세계 챔피언십에 자사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을 새로운 세이프티 카(safety car)로 공개한다고…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