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 V6 296 GT3 공개...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

작성자 정보

  • 운영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cf4b89a0e3ae382bdf43eb3a6eb9871389ecd4306s3l.jpg4b9a592712efc669b3dd195c4cfe66a688fe6a719470.jpg

 

페라리가 ‘2023 GT 레이싱’에서 활양하게 될 296 GT3를 공개했다. GT 레이싱은 고객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자동차 경주로 기술 및 혁신적인 솔루션이 가장 훌륭하게 이전된 양산차들이 출전한다. 296 GT3는 페라리의 2인승 미드리어 엔진 스포츠 베를리네타 콘셉트의 최신작, 296 GTB를 발전시킨 모델이다.

 

페라리 296 GT3는 트랙 안팎을 아우르는 혁신적인 프로젝트의 산물이다. 페라리는 166MM이 르망 24시에서 승리했던 19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그 우승의 전통을 이어 가기 위해 296 GT3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 프로젝트는 차량의 디자인과 더불어 레이스 위크엔드(그랑프리의 공식 일정이 시작되는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를 의미)의 모든 단계에서 일어나는 차량 관리, 전자 장치, 그리고 심지어 120° 터보차저 6기통의 엔진 아키텍처 측면에서도 새로운 접근방식을 취했다. 레이싱 팀, 전문 드라이버 및 젠틀맨 드라이버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콘셉트가 개발되었다. 이 차량은 새로운 GT3 규정을 준수하면서 모든 측면에서 세심하게 설계되었다.

 

엔진 및 기어박스


296 GT3는 기술 규정에 따라 296 GTB에 탑재된 전기 장치는 없지만, V6 페라리의 트랙 복귀를 의미하고 있다. 296 GT3의 V6 엔진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점화하는 120° V 구성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V 내부의 터보 배치는 공도용 쌍둥이 모델인 296 GTB에 기반을 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소형화, 무게 중심의 하향, 질량 감소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함과 더불어 매우 높은 수준의 출력을 제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됐다. 페라리 차량의 설계에 있어서 항상 핵심이 되어온 엔진의 경우, 공도용 모델인 296 GTB에 비해 더 앞쪽에 그리고 더 아래쪽에 위치해 무게 중심이 낮아짐과 더불어, 비틀림 강성은 488 GT3 대비 약 10% 향상됐다.

 

이 구조는 점화 순서, 실린더 헤드 흡기 측의 흡기 매니폴드 및 엔진 마운트 통합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더 가볍고 더 작은 엔진 덕분에 외부 플레넘과 지지대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었다. 엔진의 내부 유체 역학 관점에서는 부피가 감소해 흡입 효율이 개선되었다.

 

페라리 엔지니어들은 엔진의 모든 내부 유체 역학, 그리고 트랙 버전의 동력 장치를 위한 특정 구성 요소를 설계하고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파트너사의 엔지니어들과 협력했다. 이들의 목표는 ‘스프린트’ 레이스와 ‘내구’ 레이스 모두를 위해 타협 없는 성능, 신뢰성, 주행성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엔지니어들은 보다 유연한 레이스 전략과 개입 시간 단축을 목표로 성능의 저하 없이 연료 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데 최선을 다했다. 예를 들어, 교류 발전기는 기어박스에 부착돼 있어 장치는 더욱 콤팩트해졌고 강성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비사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기어박스는 296 GT3 전용으로 새롭게 개발되었다. 디자이너들은 공기역학 및 중량 배분을 개선하기 위해 6개의 기어가 횡방향으로 배열된 싱글 디스크 클러치 유닛을 선택했다. 기어 변속이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동안, 클러치도 풋 페달을 통해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게 아니라 전자식으로 작동하여 스티어링휠에서 제어가 가능해졌다. 또한 구성 부품의 소형화와 고급 소재의 사용으로 Xtrac 기어박스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성능에도 도움이 됐다.

 

외관 및 공기역학


GT 레이싱에서 페라리의 미래가 될 296 GT3의 외관은 296 GTB의 볼륨을 재정의한 유선형의 모양을 띄고 있다.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 공기역학 전문가, 디자이너들은 팀워크를 통해 트랙의 요구사항 및 성능을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296 GTB의 볼륨을 재정의했다. 때문에 레이싱 버전의 296 GT3는 공기역학 장치와 몇몇 기능들을 제거했음에도 불구하고 양산 모델인 296 GTB와 디자인적 연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296 GTB의 디자인은 이미 1963년형 250 LM처럼 단순성과 기능성의 완벽한 결합을 보여주는 차량들을 레퍼런스로 삼았다.

 

페라리 엔지니어들은 핸들링 및 주행성 개선을 목표로 지상고 민감도를 줄임으로써 인증 성능 범위 안에서 공기역학을 구성했다. 형태에 대한 이런 정밀하고 세밀한 작업 덕분에 이전 세대 대비 다운포스가 20% 향상되었다. 공기역학 관점에서 296 GT3는 주변 공기와 공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접지력과 핸들링 성능을 극대화하여 젠틀맨 드라이버와 전문 드라이버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디자이너들이 직면한 과제는 공기역학적으로 발생하는 힘에 대한 차량의 민감도를 낮추고 주행성 및 운전자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탁월한 균형감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차체에서 윙 부속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성 요소의 기하학적 구조는 다양한 작동 조건과 공기역학적 상호작용을 고려해 디테일하게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성능을 최적화하고 다른 차량의 슬립스트림에 들어갈 때를 포함한 다양한 레이싱 상황에서도 견고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했다. 프론트 스플리터에서부터 세련된 3차원 디자인의 디퓨저가 장착된 리어 익스트랙터까지, 296 GT3는 가장 낮은 공기저항을 목표로 정교하게 디자인되었다. 그래서 더욱 눈에 띈다.

 

운전석

 

68c7171eb5f8fa3dd0d27a5314884e23b014ec8d9skw.jpg
 

직관성, 가시성, 접근성은 안전하고 편안한 실내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다. 내구 레이싱에서는 이런 특징들을 고려해 성능이 결정되고, 젠틀맨 드라이버의 경우 특히 그렇다. 296 GT3의 실내는 팩토리 드라이버와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해 488 GT3와는 완전히 다르게 새로 디자인되었다. 그 결과, 탑승자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최적의 운전 위치를 찾을 수 있고 주요 기능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운전석이 탄생했다. 

 

많은 제어 및 기능 버튼들이 포뮬러 원 1인승 차량에서 영감을 받은 신형 스티어링휠로 옮겨졌으며 사벨트(Sabelt)에서 제작한 시트는 낮과 밤 모두 최적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곳으로 위치가 조정됐다. 또한 다양한 체구와 주행 포즈를 가진 운전자들을 고려해 페달과 스티어링휠 모두 조정이 가능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에 차에서 최적의 위치를 찾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차원이 다른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실내의 에어컨 시스템과 공기의 흐름은 모든 조건에서 적절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는 레이스의 모든 단계에서 온전히 집중할 수 있다.

 

섀시 및 차량 동역학

 

7ea4c0931dc533594c1c1b1ffd7fb4d8c9bbee5bqmi6.jpgb9c0e0b141fc2fdfff4a9c84315bb23dfcf6fc79650j.jpg7d13d79f2ad5606a67485897740e5b1521da78c5wqj1.jpga54559f42bf94627526031e31164e467064bceecx8th.jpg995c7cdf83e3ffe6e437a4fb82831a5f59fc298fmcn4.jpg
 

296 GT3의 섀시는 488 GT3의 성능을 그대로 살린 반면, 알루미늄을 사용해 완전히 새롭게 제작되었다. 296 GT3는 운전하기 매우 쉽고 재미있을 뿐 아니라, 타이어의 잠재적인 접지력을 활용할 수 있다. 수차례 랩을 돌아도 타이어가 쉽게 닳지 않아 성능과 반복성에도 도움이 된다. 296 GT3의 섀시는 극단적으로 가벼워져 밸러스트(ballast, 차체의 안정을 위해 바닥에 놓는 무거운 물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합금 및 소재에 있어 최고로 정교한 시뮬레이션과 혁신적인 기술 연구를 통해 안전 구조를 보다 세심하게 설계할 수 있었다.

 

296 GT3의 휠베이스는 규정 한계 내에서 296 GTB보다 길게 디자인되었다. 그리고 서스펜션은 488 GT3와는 다른 296 GT3만의 운동학 및 구조로 설계되었다. 프론트 및 리어 서스펜션의 더블 위시본 암은 고속에서도 접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를 통해 타이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여서 타이어의 수명과 성능,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서스펜션은 안티롤 바처럼 설정값이 광범위해 운전자에게 최상의 설정을 제공한다. 제동 시스템도 새롭게 설계된 캘리퍼 및 디스크(프론트 디스크의 경우 400mm)와 더불어 변경되고 업그레이드되었다. 로티폼(Rotiform)에서는 296 GT3 전용으로 완전히 새로운 단조 휠을 개발했다. 파트너십으로 제작된 새로운 로티폼 디자인은 모든 페라리 296 GT3 프로 레이스카에 제공되는 유일하고 독점적인 휠이 될 예정이다.

 

83e37d58dfae81f23b6d27107a18aaecf806a22aqw07.jpg26cc67c79f10e65deb5622e1181150782ab189966582.jpgbca32c9ae8257af781e3efa33f1bd5c4966820b49p0h.jpgc5d6c36572734743772dd021da5623665e3696ca43j1.jpg

 

페라리의 엔지니어들은 296 GT3를 설계하면서 레이스와 프리 레이스(레이스가 시작되기 직전)에서 차량의 트랙 운영 속도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성이 개선된 기계적 부품 및 탄성 부품들 덕분에 이전 모델과 비교해 296 GT3의 설정을 변경하는 게 더 쉬워졌다. 차량 개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엔진 또는 주요 액세서리 시스템을 점검하는 작업도 크게 개선되었다.

 

296 GT3는 차량의 중요 부품을 교체하는 데 있어서도 경쟁자들과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공기역학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손상을 입은 후에도 빠르게 트랙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장치 및 솔루션들 덕분에 프론트 및 리어 부위는 단 몇 초 만에 교체가 가능하다.

 

차량 개발


296 GT3는 승리가 최종 목표인 “프로” 클래스에서의 극단적인 주행, 그리고 레이싱이 가장 재미있고 최우선이라고 여기는 젠틀맨 드라이버들을 위해 개발되었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콘셉트는 2020년에 등장했고 최초의 CFD(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과 시뮬레이터 모델을 통해 현실화됐다. 그리고 나서 실내 테스트가 시작됐다. 풍동에서 차량의 공기역학적 형태가 정의됐고 엔진의 벤치 튜닝 및 섀시의 강성 테스트가 이뤄졌다. 차량은 마침내 마라넬로의 4WD Dyno에서 내구성 테스트를 마쳤다. 

 

a0c1b7cdd95680ed7e49e516a0a6b5b9878d3c5ei87h.jpg

 

이 신형 페라리는 2022년 4월 12일 피오라노(Fiorano) 트랙에서의 첫 시운전 후, 수만 km를 주행하면서 레이싱 준비를 마쳤다. 이 부분이 모든 과정 중 가장 힘든 도전 과제였다. 296 GT3는 2023 데이토나 24시에서 데뷔할 예정이다. ​

 

 



운영자 레벨 46
96%

관련자료

댓글 1

코트라님의 댓글

  • 코트라
  • 작성일
생긴건 정말 짱 먹게 생겼네요 ㅎ
28 럭키포인트 당첨!

 

▶ 하이튜닝 ◀ 테슬라 사이버트럭 오프로드 튜닝 버전

▶ 하이튜닝 ◀ 맥스크루즈 후속? 싼타페 롱버전

▶ 하이튜닝 ◀ 올 뉴 싼타페 갤로퍼 에디션

▶ 하이튜닝 ◀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사진

 


전체 2,402 / 100 페이지
RSS
  • 양악 수술한 BMW 1시리즈 페이스리프트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1.19 조회 11315 추천 0

    BMW가 못난 얼굴로 지탄받던 1시리즈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했다. 정식 데뷔는 3월 제네바 모터쇼로 예정되었고 판매는 올 하반기부터 이뤄진…

  • 오펠, A세그먼트 2세대 “Agila” 공개 댓글 1
    등록자
    등록일 05.21 조회 11317 추천 0

    오펠이 신형 “Agila”를 올 가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사전 공개된 2세대 “Agila”의 이미지(CG)는 구형보다 …

  • 오스트리아 KTM 퓨어 스포츠카 X-BOW 댓글 7
    등록자
    등록일 02.06 조회 11317 추천 0

    오스트리아의 모터바이크 메이커인 KTM이 아우디 엔진을 장착한 오픈 스포츠카를 개발할 예정이다. 크로스-Bow(X-Bow)로 명명된 2인승 오픈…

  • 그란투리스모6를 위한 스바루 비지브 GT 비전 컨셉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1.19 조회 11319 추천 0

    인기 게임과 콜라보를 통해 마케팅 윈윈 전략을 펼치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다. BMW, 벤츠, 마쓰다, 토요타 등 다양한 브랜드가 소니 게임 콘…

  • B세그먼트 다크호스, 스즈키 신형 발레노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8.31 조회 11321 추천 0

    스즈키가 2015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의 정식 데뷔에 앞서 소형 해치백 발레오(Suzuki Baleno)의 사진을 공개했다. 발레오는 1995…

  • 엔트리 해치백의 교과서 스즈키 신형 스위프트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2.28 조회 11328 추천 0

    일본과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스즈키 스위프트가 6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났다. 스위프트는 2004년 등장해 지금까지 글로벌에서 5…

  • 기아 신개념 경박스카, 레이(RAY)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1.10 조회 11329 추천 0

    기아자동차는 9일(수) 이 달 말 출시예정인 ‘TAM(프로젝트명)’의 차명을 ‘레이(RAY)’로 정하고 외장 디자인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레이…

  • 현대차, i30 N을 위한 'N 옵션' 공개 댓글 1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0.04 조회 11329 추천 0

    현대차가 2018 파리 모터쇼에 i30 N의 튜닝 파츠인 ‘N Option’을 소개했다. 드라이버의 개성과 취향을 고려한 ‘N Option’은 …

  • 포드 4-Trac 컨셉트 트럭
    등록자
    등록일 11.26 조회 11334 추천 0

    포드가 태국 방콕 모터쇼에 4도어 픽업 컨셉트 트럭모델을 출품했다. 북미시장을 제외한 가장 큰 픽업 판매처인 아시아 시장을 위한 모델이며 포드의…

  • 중국 코로스, 2 SUV PHEV 컨셉트카 공개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04.22 조회 11335 추천 0

    상하이에 본사를 둔 신흥 자동차 메이커 코로스(QOROS)가 2015 상하이모터쇼에 ' 2 SUV PHEV Concept'를 출품하며 차세대 S…

  • BMW 차세대 6시리즈 예고편, 6시리즈 쿠페 컨셉카
    등록자
    등록일 09.20 조회 11342 추천 0

    독일 BMW가 9월 말 개막되는 파리모터쇼에 차세대 6시리즈의 예고편인 6시리즈 쿠페 컨셉트(6 Series Concept) 모델을 출품한다고 …

  • 쌍용차, X100 예고편 XIV-Air 공개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0.02 조회 11352 추천 0

    쌍용자동차가 내년초 발매 예정인 콤팩트 SUV 코드명 X100의 양산형 콘셉트카 둘을 2014 파리 모터쇼에 출품한다고 밝혔다. XIV-Air와…

  • 2011 서울모터쇼 - 르노삼성 SM7 컨셉트카 댓글 4
    등록자
    등록일 03.31 조회 11359 추천 1

    르노삼성은 서울모터쇼에서 하반기에 선보일 SM7 후속모델의 쇼카인 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르노삼성자동차와 가 협력 개발한 준대형 세단으로써,…

  • 메르세데스 벤츠 6세대 SL 클래스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2.14 조회 11360 추천 0

    내년 1월 개막되는 2012 북미오토쇼를 통해 정식 데뷔할 벤츠 6세대 SL 클래스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SL은 벤츠 최상위 모델로 우아함…

  • 5번째 베이비 벤츠, CLA 슈팅 브레이크 탄생
    등록자 오토스파이넷
    등록일 11.26 조회 11367 추천 0

    메르세데스 밴츠가 CLA 기반의 스포츠 왜건 CLA 슈팅 브레이크(CLA Shooting Brake)를 공개했다. 디자인은 CLA의 얼굴에 CL…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