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자동차 볼보, 2030년까지 내연기관 라인업 제외. 작성자 정보 작성자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01:26 컨텐츠 정보 조회 1,486 댓글 9 목록 본문 <출처> : https://www.carscoops.com/2021/03/volvo-to-kill-their-ice-offerings-by-2030-new-cars-to-be-online-exclusive-pure-evs/볼보가 2030년까지 내연기관 라인업을 없애는 걸로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군요.당분간 전동화 파워트레인과 순수전동차 라인업을 유지하되 궁극적인 목표는 완전 전동화인가 봅니다.뭐... 모기업이 전동화를 원하니 그렇다 치는데... 그렇게 빠르게 전동화가 진행될지는 미지수네요..전동화=친환경 이라는 공식이 성립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이는데.. 앞으로 다른 브랜드들은 어떻게 대응할지 궁금합니다. [이 게시물은 오토스파이넷님에 의해 2021-03-03 08:24:33 사진영상에서 이동 됨] SNS 공유 신고 관련자료 댓글 9개 킬러1984님의 댓글 킬러198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07:18 기아도 이렇게 가야한다고 봅니다 현대는 좀 더 두고라도 3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기아도 이렇게 가야한다고 봅니다 현대는 좀 더 두고라도 ㄱ두님의 댓글 ㄱ두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09:19 전통적으로 볼보는 드라이빙을 즐기는 차가 아니었죠. 경제적이면서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차량을 만드는게 목적이었던 회사라 주로 의사, 회계사, 주부 등등이 주고객이었구요. 그렇기에 그 어느 업체보다도 전동화로 탈바꿈하기에 최적인 회사입니다.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전통적으로 볼보는 드라이빙을 즐기는 차가 아니었죠. 경제적이면서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차량을 만드는게 목적이었던 회사라 주로 의사, 회계사, 주부 등등이 주고객이었구요. 그렇기에 그 어느 업체보다도 전동화로 탈바꿈하기에 최적인 회사입니다. 쌥쌥이님의 댓글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11:36 네? 전통적으로 볼보/사브는 터보차저 엔진을 잘만들기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시장 특성상 고배기량 다기통 엔진 만들기가 어려워 터보차저 기술이 발달했고 한때 볼보=고성능 이었습니다.. 그냥 모기업이 전동화에 대한 엄청난(?) 열망이 있기 때문에 따라가는거죠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네? 전통적으로 볼보/사브는 터보차저 엔진을 잘만들기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시장 특성상 고배기량 다기통 엔진 만들기가 어려워 터보차저 기술이 발달했고 한때 볼보=고성능 이었습니다.. 그냥 모기업이 전동화에 대한 엄청난(?) 열망이 있기 때문에 따라가는거죠 늬님의 댓글의 댓글 늬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23:59 말씀하신거는 딱 사브네요^^ 예를들면 볼보는 과거 s80의 경우 가로배치엔진에 4400cc 그것도 v8엔진으로 구겨넣은 그런회시입니다.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말씀하신거는 딱 사브네요^^ 예를들면 볼보는 과거 s80의 경우 가로배치엔진에 4400cc 그것도 v8엔진으로 구겨넣은 그런회시입니다. 쌥쌥이님의 댓글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4 00:20 그건 포드 산하에 있었을때 야마하 엔진 우겨넣은거고요. 80-90년대에는 터보차저 엔진이 주를 이뤘습니다.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그건 포드 산하에 있었을때 야마하 엔진 우겨넣은거고요. 80-90년대에는 터보차저 엔진이 주를 이뤘습니다. 조윤기님의 댓글의 댓글 조윤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24 19:31 이게 정답,, 볼보나, 사브나 터보차저로 유명했죠,, 그리고 고소득 직종에서 많이 찾았다는 사브도 미국에 팔리고 나서 그렇게 팔린거였죠,, 볼보는 그런 이미지도 사브보다 못했음 그리고 전기차라고 내연기관보다 안전한건 아니죠,, 경제적인것도 아니고 앞으로의 방향과 에너지관련 이슈때문에 전기차를 가는게 아니라 중국의 전기차 정책에 볼보가 따라가는것뿐,,, 그리고 2030년에는 유럽 대부분에서 내연기관 퇴출을 내걸었는데 볼보뿐만 아니라 여러 회사들이 먼저 치고나가려고 하는것 24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1비추천0 이게 정답,, 볼보나, 사브나 터보차저로 유명했죠,, 그리고 고소득 직종에서 많이 찾았다는 사브도 미국에 팔리고 나서 그렇게 팔린거였죠,, 볼보는 그런 이미지도 사브보다 못했음 그리고 전기차라고 내연기관보다 안전한건 아니죠,, 경제적인것도 아니고 앞으로의 방향과 에너지관련 이슈때문에 전기차를 가는게 아니라 중국의 전기차 정책에 볼보가 따라가는것뿐,,, 그리고 2030년에는 유럽 대부분에서 내연기관 퇴출을 내걸었는데 볼보뿐만 아니라 여러 회사들이 먼저 치고나가려고 하는것 AF님의 댓글 AF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09:44 벤츠가 작년에 엔진 손 떼면서 볼보 엔진 쓰기로 했었죠. 앞으로 전동화 힘든 일부 국가 및 지역 제외 하고는 모든 브랜드가 모터로 가겠죠. 정해놓은 날짜가 있는데.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벤츠가 작년에 엔진 손 떼면서 볼보 엔진 쓰기로 했었죠. 앞으로 전동화 힘든 일부 국가 및 지역 제외 하고는 모든 브랜드가 모터로 가겠죠. 정해놓은 날짜가 있는데. 쌥쌥이님의 댓글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11:33 벤츠가 엔진에 손 뗀게 아니라 지리가 벤츠 최대주주라서 벤츠-볼보 연합하여 엔진을 공동개발한다는 겁니다.. 벤츠는 르노그룹하고도 협력하고 있고 상하이기차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상해기차는 거의 라이선스 제공 수준이긴 합니다) 3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벤츠가 엔진에 손 뗀게 아니라 지리가 벤츠 최대주주라서 벤츠-볼보 연합하여 엔진을 공동개발한다는 겁니다.. 벤츠는 르노그룹하고도 협력하고 있고 상하이기차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상해기차는 거의 라이선스 제공 수준이긴 합니다) AF님의 댓글의 댓글 AF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12:14 이유는 항상 복합적인거죠. 협력관계인거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것이고.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이유는 항상 복합적인거죠. 협력관계인거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것이고. 목록
킬러1984님의 댓글 킬러1984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07:18 기아도 이렇게 가야한다고 봅니다 현대는 좀 더 두고라도 3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기아도 이렇게 가야한다고 봅니다 현대는 좀 더 두고라도
ㄱ두님의 댓글 ㄱ두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09:19 전통적으로 볼보는 드라이빙을 즐기는 차가 아니었죠. 경제적이면서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차량을 만드는게 목적이었던 회사라 주로 의사, 회계사, 주부 등등이 주고객이었구요. 그렇기에 그 어느 업체보다도 전동화로 탈바꿈하기에 최적인 회사입니다.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전통적으로 볼보는 드라이빙을 즐기는 차가 아니었죠. 경제적이면서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차량을 만드는게 목적이었던 회사라 주로 의사, 회계사, 주부 등등이 주고객이었구요. 그렇기에 그 어느 업체보다도 전동화로 탈바꿈하기에 최적인 회사입니다.
쌥쌥이님의 댓글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11:36 네? 전통적으로 볼보/사브는 터보차저 엔진을 잘만들기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시장 특성상 고배기량 다기통 엔진 만들기가 어려워 터보차저 기술이 발달했고 한때 볼보=고성능 이었습니다.. 그냥 모기업이 전동화에 대한 엄청난(?) 열망이 있기 때문에 따라가는거죠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네? 전통적으로 볼보/사브는 터보차저 엔진을 잘만들기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시장 특성상 고배기량 다기통 엔진 만들기가 어려워 터보차저 기술이 발달했고 한때 볼보=고성능 이었습니다.. 그냥 모기업이 전동화에 대한 엄청난(?) 열망이 있기 때문에 따라가는거죠
늬님의 댓글의 댓글 늬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23:59 말씀하신거는 딱 사브네요^^ 예를들면 볼보는 과거 s80의 경우 가로배치엔진에 4400cc 그것도 v8엔진으로 구겨넣은 그런회시입니다.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말씀하신거는 딱 사브네요^^ 예를들면 볼보는 과거 s80의 경우 가로배치엔진에 4400cc 그것도 v8엔진으로 구겨넣은 그런회시입니다.
쌥쌥이님의 댓글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4 00:20 그건 포드 산하에 있었을때 야마하 엔진 우겨넣은거고요. 80-90년대에는 터보차저 엔진이 주를 이뤘습니다.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그건 포드 산하에 있었을때 야마하 엔진 우겨넣은거고요. 80-90년대에는 터보차저 엔진이 주를 이뤘습니다.
조윤기님의 댓글의 댓글 조윤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24 19:31 이게 정답,, 볼보나, 사브나 터보차저로 유명했죠,, 그리고 고소득 직종에서 많이 찾았다는 사브도 미국에 팔리고 나서 그렇게 팔린거였죠,, 볼보는 그런 이미지도 사브보다 못했음 그리고 전기차라고 내연기관보다 안전한건 아니죠,, 경제적인것도 아니고 앞으로의 방향과 에너지관련 이슈때문에 전기차를 가는게 아니라 중국의 전기차 정책에 볼보가 따라가는것뿐,,, 그리고 2030년에는 유럽 대부분에서 내연기관 퇴출을 내걸었는데 볼보뿐만 아니라 여러 회사들이 먼저 치고나가려고 하는것 24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1비추천0 이게 정답,, 볼보나, 사브나 터보차저로 유명했죠,, 그리고 고소득 직종에서 많이 찾았다는 사브도 미국에 팔리고 나서 그렇게 팔린거였죠,, 볼보는 그런 이미지도 사브보다 못했음 그리고 전기차라고 내연기관보다 안전한건 아니죠,, 경제적인것도 아니고 앞으로의 방향과 에너지관련 이슈때문에 전기차를 가는게 아니라 중국의 전기차 정책에 볼보가 따라가는것뿐,,, 그리고 2030년에는 유럽 대부분에서 내연기관 퇴출을 내걸었는데 볼보뿐만 아니라 여러 회사들이 먼저 치고나가려고 하는것
AF님의 댓글 AF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09:44 벤츠가 작년에 엔진 손 떼면서 볼보 엔진 쓰기로 했었죠. 앞으로 전동화 힘든 일부 국가 및 지역 제외 하고는 모든 브랜드가 모터로 가겠죠. 정해놓은 날짜가 있는데.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벤츠가 작년에 엔진 손 떼면서 볼보 엔진 쓰기로 했었죠. 앞으로 전동화 힘든 일부 국가 및 지역 제외 하고는 모든 브랜드가 모터로 가겠죠. 정해놓은 날짜가 있는데.
쌥쌥이님의 댓글의 댓글 쌥쌥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021.03.03 11:33 벤츠가 엔진에 손 뗀게 아니라 지리가 벤츠 최대주주라서 벤츠-볼보 연합하여 엔진을 공동개발한다는 겁니다.. 벤츠는 르노그룹하고도 협력하고 있고 상하이기차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상해기차는 거의 라이선스 제공 수준이긴 합니다) 3 럭키포인트 당첨! 답글 신고 추천0비추천0 벤츠가 엔진에 손 뗀게 아니라 지리가 벤츠 최대주주라서 벤츠-볼보 연합하여 엔진을 공동개발한다는 겁니다.. 벤츠는 르노그룹하고도 협력하고 있고 상하이기차와도 협력하고 있습니다(상해기차는 거의 라이선스 제공 수준이긴 합니다)
AF님의 댓글의 댓글 AF 이름으로 검색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2021.03.03 12:14 이유는 항상 복합적인거죠. 협력관계인거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것이고. 답글 삭제 신고 추천0비추천0 이유는 항상 복합적인거죠. 협력관계인거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것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