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계기판의 역사

작성자 정보

  • 박태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1902년 독일 엔지니어인 Otto Schulze는 에디커런트(Eddy Current; 와전류)를 이용한 속도계(Speedmeter)를 가지고 특허를 획득하였다. 이것이 자동차에 계기판이 사용되는 첫번째 단초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자동차 발달사 초기에는 자동차 속도라는 것이 보잘 것 없었으므로 운전자들은 속도를 측정한다는 것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현재속도라는 것은 그저 자신의 감각적인 기준(걷는다, 달린다)을 가지고 적당히 가늠하면 그만이었던 것.

 

그러다가 점점 차동차 배기량이 커지고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하면서 자동차의 속도가 사람의 인지속도를 넘어서게 될 즈음에 그리고 속도제한에 관한 법규들이 마련되기 시작할 무렵 법규위반을 줄일 목적과 자동차의 기계적인 한계를 가늠할 요량으로 속도계를 달아야 한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b5ecb2a76802f9354ca0762c02c770be


 

다빈치의 적산계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이미 16세기에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가 거리계를 고안하였고 19세기 초에 증기기차가 철로 위를 달리게 되면서 덩치 큰 기차의 절대속도를 알아야만 했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과 종류의 속도계들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그런 장치들을 곧바로 자동차에 이식하는 것은 당시로서는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고 한다.

 

그 골치거리를 해결한 사람이 바로 오토 슐츠였던 것이다. 슐츠의 방법은, 바퀴나 변속기의 회전을 굴절가능한 축으로 전달하되 그 축의 끝에 영구자석을 붙여 놓음으로써 회전하는 영구자석의 자력선이 지침이 붙은 원형 디스크에 맴돌이전류를 형성하며 디스크를 움직이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었다. 속도가 빨라지면 와전류의 양도 늘고 디스크의 회전각도도 커진다.

이 속도계는 당시로서는 가격이 매우 비싼 옵션품목이었기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그러다가 1910년 경, 포드와 같은 큰 회사들이 속도계를 기본사양으로 채택하기 시작하면서 널리 보급된다. 그 추세는 제 1차 세계대전이 끝난 무렵 잠시 주춤세를 보이다가 1930년경 부터는 엔진회전계(RPM Meter), 연료계, 방향지시등과 같은 다른 게이지나 기능들까지 계기판에 함께 구현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계속되는 기술발전으로, 1950년대에는 마모에 의한 오작동이 많은 기계적인 축-구동방식에서 탈피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한 (일종의 전압계와 같은 방법으로) 지침구동 방식이 소개되었다. 1980년대에는 스태핑모터를 이용하는 적산계도 사용된 직후 곧바로 LCD를 이용하는 표시방법도 소개되었다. 그리고 센서신호를 이용하는 전전자식 계기판들이 개발되기 시작하는데 현재는 다양한 기능의 TFT 칼러시스템, HUD시스템, 계기판 재구성시스템  등도 개발 소개되고 있다.

 

3ff3787fd9d0252f6f62435506419669

 



관련자료

댓글 1

조중현님의 댓글

  • 조중현
  • 작성일
헉 마침 찾던 정보네요 감사!감사!

 

▶ 하이튜닝 ◀ 테슬라 사이버트럭 오프로드 튜닝 버전

▶ 하이튜닝 ◀ 맥스크루즈 후속? 싼타페 롱버전

▶ 하이튜닝 ◀ 올 뉴 싼타페 갤로퍼 에디션

▶ 하이튜닝 ◀ 기아 K5 페이스리프트 사진

 


전체 347 / 6 페이지
RSS
  • [감성칼럼] 포르쉐 718 박스터냐, 718 카이맨이냐! 그것이 문제로다(X)
    등록자 ZOOT
    등록일 04.26 조회 21015 추천 2

    안녕하십니까!자동차 감성칼럼니스트 주트 인사드립니다.이번 칼럼은,새로운 포르쉐의 얼굴"718"에 대해서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필자의 주관이…

  • 2% 부족해 실패했지만 가장 도전적이었던 국산차 댓글 1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11.26 조회 20717 추천 2

    현대 리베로(Hyundai Libero)지금 돌아다니는 1톤 트럭을 보면 늘 아슬아슬합니다. 충격을 흡수하는 크럼블 존이라는 게 없어 사고 나면…

  • 리비안이 특허낸 픽업 모듈러 박스 시스템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3.14 조회 20655 추천 2

    리비안(Rivian)은 미국에서 떠오르는 전기 픽업업체 중 하나입니다. 아마존과 GM 등 굵직한 업체에서 통 크게 투자할만큼 미래가 촉망되는 곳…

  • 슈팅브레이크로 변신한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3.29 조회 20640 추천 0

    언제나 특별함을 추구하는 고객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럭셔리로 넘어가면 이런 니즈는 더욱 커지죠. 사진은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이긴한데 좀 색다른…

  • 신형 코란도에 들어갈 3가지 첨단 기술들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2.11 조회 20002 추천 0

    쌍용자동차가 오는 3월 신형 코란도를 출시합니다. 이름이 주는 배경만큼 큰 의미를 부여하는 모델인데요. 디자인뿐만 아니라 첨단기술을 접목해 역대…

  • 너무나 파격적인 모습의 현대차 나인 콘셉트카(Hyundai Nine EV Concept) 댓글 5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4.10 조회 20002 추천 0

    글로벌 자동차 마니아들 사이에서 놀림의 대상이었던 현대차는 지난 20년 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최근 그들은 대부분의 구매자가 만족하는…

  • 테슬라 1회 충전 1,000km 이상 달리는 로드스터 개발 댓글 2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4.30 조회 19899 추천 2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에 흥미로운 사실을 올렸습니다. SNS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그는 트위터를 통해 자신과 테슬라에 대한 토론을 즐…

  • 엑센트 값으로 판매될 바오준 RS-3 댓글 3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9.26 조회 19804 추천 1

    중국 바오준이 새로운 소형 SUV RS-3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정식 데뷔는 10월로 예정된 상태이고 2장의 공식 사진이 먼저 유출되었습니다.바…

  • 포르쉐 타이칸 터보보다 빠른 기아차 3월에 나온다 댓글 6
    등록자 록키스로
    등록일 02.10 조회 19772 추천 0

    기아(KIA)가 로고를 전면적으로 바꾸고 향후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기아는 앞으로 전기차와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

  • 좋은중고차를 고르는 방법(2) 댓글 1
    등록자 유원광
    등록일 09.04 조회 19488 추천 11

    오늘은 침수와 주행거리가 의심스러울때 점검하는 방법에대하여 이야기하겠습니다.가)침수가 의심스러울때(실내부분)1)실내에서 곰팡이나 녹냄새가 심하게…

  • 가장 오래된 포르쉐는 얼마나 할까요? 댓글 4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5.15 조회 19386 추천 2

    포르쉐의 첫 번째 모델은 무엇일까요? 많은 분들이 356을 꼽습니다. 양산차 중 처음으로 포르쉐 배지를 단 모델이니까요. 하지만 이보다 먼저 포…

  • 테슬라 모델 Y 공개, 3만 9천불부터 시작 댓글 2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3.16 조회 19351 추천 2

    테슬라가 '모델 Y'를 공개했습니다. 모델 3와 모델 S, 모델 X에 이어 등장한 SUV 모델이죠. 이로써 'S3XY'가 완성되었습니다. 모델 …

  • Dodge Hennessey Viper 시리즈.. 댓글 1
    등록자 유호재
    등록일 09.21 조회 19328 추천 0

    2000년도에 개발된 Dodge Hennessey Viper Venom 800TT는 최고속도가 378km/h 에 달하고 제로백이 2초대에 0-4…

  • 4억 5천짜리 클래식 머스탱 전기차, 0-97km/h 4초의 성능 댓글 2
    등록자 수퍼맨7
    등록일 06.26 조회 19316 추천 0

    영국 전기차 스타트업 차지 오토모티브(Charge Automotive)가 클래식 머스탱 기반의 신 모델을 공개했네요. 7월에 열리는 굿우드 페스…

  • 제네시스 디자이너가 그린 알파로메오 차세대 슈퍼카 TZ4 댓글 7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5.25 조회 19184 추천 0

    알파로메오는 몇 가지 흥미로운 모델을 생산하고 있지만, 8C 콤패티치오네 이후 슈퍼카 영역에서 발을 뺐습니다. 하지만 그 깊은 역사에서 보여줬듯…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