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기어 제레미 클락슨의 부가티 베이론 16/4 시승 및 뒷 이야기

작성자 정보

  • 이종석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7,543 조회
  • 2 댓글
  • 1 추천
  • 목록

본문

최근에 영국 탑기어 사회사 제레미 클락슨이 부가티 베이론에 16/4를 시승하고 쓴 기사가 11월 27일짜 타임즈온라인 영국 인터넷 뉴스에 올라온게 있는데 기사의 일부분 중에서

DRIVINGHeadBGLogo_1.gif

 

0,,246576,00.jpg

For this, VW went to Ricardo, a British company that makes gearboxes for various Formula One teams. “God, it was hard,” said one of the engineers I know vaguely.

 

“The gearbox in an F1 car only has to last a few hours. Volkswagen wanted the Veyron’s to last 10 or 20 years. And remember, the Bugatti is a damn sight more powerful than any F1 car.” The result, a seven-speed double-clutch flappy paddle affair, took a team of 50 engineers five years to perfect.

 

With this done, the Veyron was shipped to Sauber’s F1 wind tunnel where it quickly became apparent that while the magic 1000bhp figure had been achieved, they were miles off the target top speed of 400kph (248mph). The body of the car just wasn’t aerodynamic enough, and Volkswagen wouldn’t let them change the basic shape to get round the problem.

 

The bods at Sauber threw up their hands, saying they only had experience of aerodynamics up to maybe 360kph, which is the effective top speed in Formula One. Beyond this point Bugatti was on its own. Somehow they had to find an extra 30kph, and there was no point in looking to the engine for answers because each extra 1kph increase in speed requires an extra 8bhp from the power plant. An extra 30kph then would need an extra 240bhp. That was not possible.

 

 The extra speed had to come from changing small things on the body. They started by fitting smaller door mirrors, which upped the top speed a bit but at too high a price. It turned out that the bigger ones had been keeping the nose of the car on the ground. Without them the stability was gone. In other words, the door mirrors were generating downforce. That gives you an idea of how much of a bastard the air can be at this speed.

 

After some public failures, fires and accidents, and one chief being fired, they hit on the idea of a car that automatically changes shape depending on what speed you’re going. At 137mph, the nose of the car is lowered by 2in and the big rear spoiler slides into the slipstream.

 

The effect is profound. You can feel the back of the car being pressed into the road. However, with the spoiler in place the drag is so great you’re limited to just 231mph. To go faster than that you have to stop and insert your ignition key in a slot on the floor. This lowers the whole car still further and locks the big back wing down. Now you have reduced downforce, which means you won’t be going round any corners, but you have a clean shape. And that means you can top 400kph.

 

라고 되어 있던데.....

 

즉 이제 것 대두되어 온 엔진 쿨링 문제를 해결 되지 않은 채 포뮬러원 팀의 기어박스를 만드는 영국 회사 Ricardo에 찾아 갔고 그리고 에어로다이나믹을 위해 Sauber F1팀의 윈드터널에 보내게 되죠. 하지만 이곳의 엔지니어도 360kph까지만 공기역학을 적용 시켜봤다고 난색을 표하게 됩니다.

 

400kph를 달성하기 위해서 360kph 중 30kph를 어디서 찾느냐 하는 문제가 남았는데 1kph를 올리는 데 8bph가 필요하기 때문에 30kph를 올리는데만도 240bph의 힘이 필요 했던 거였죠. 이건 불가능 한 것이였습니다. 해서 나머지 스피드를 찾는데 바디를 변형 시킬 곳을 찾던 중 싸이드 미러를 검토하게 됩니다. 위에서 정확히 이렇게 표현 하고 있는데

 

" 도어 미러를 더 작게 함으로써 탑스피드를 더 올리게 되었지만 훨씬 많은 비용이 덜게 되었죠. 더 큰 미러가 차량의 노우즈를 지면에 달라 붙게 해준 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그것이 없이 차량의 안정성 유지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것이였죠." 즉 이말은 미러가 다운포스를 만들고 이것이 베이론이 탑스피드에 도달 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디어 였던 것입니다.

 

또한 아실지 모르겠지만 2003년도 9월 여름 미국의 라구나세가 레이스 트렉에서 첫 베이론을 소개 하면서 트렉에서 한 바퀴 돌다가 갑자기 엔진에서 굉음이 들리면서 방호벽을 들이 받을 뻔한 사고를 일으키게 됩니다. 그 당시 기자가 쓴 말이 생각나네요.

 

 “레이스 동안에 가장 흥미진진 했던 이벤트는 레이스 동안에 발생 한 것이 아니고 페이스 랩에서 일어난 것일 것입니다. 2004 부가티 베이론 EB16.4 양산 버전은 공식적인 U.S 첫 데뷰를 하고 있었죠. 그리고 누군가 부가티 그랑프리를(1919-1939의 부가티 레이스 차량들) 위해 페이스 카로서 베이론이 출전하는 것은 좋은 생각 이라고 결정했죠. 하지만 차량이 한 바퀴 턴을 하자 심하게 잘못 되어 간다는 것을 알았죠. 앤드류 헤어핀에서 내가 바라본 지점으로부터 큰 소리를 들었고, 도로에 타이어가 마찰되어 끽끽거리는 소리가 났어요. 그리고 베이론은 내가 본 방향에서 뒤로 되어 있더군요. 차량은 몇 바퀴 스핀을 했고(두 번 내지 세 번 정도 잘 생각이 안나네요.) 차량이 콘크리트 벽을 쳤을 거라고 확신했죠. 차량은 결국 먼지 더미가 되었고 벽으로부터 1 야드도 더 나오지 않은 채 멈추게 되었습니다. 트렉을 등진 채 말이죠. 드라이브가 이 15억 가치의 차량을 고철로 만들 뻔한 상황에 쳐 했을 때 느낀 심리적 공항을 저도 상상이 가네요.

 

 

144-small.jpg 145-small.jpg

 



관련자료

댓글 2

김병철님의 댓글

  • 김병철
  • 작성일
종석님... 잘봤씁니다... 조만간에 탑기어에서 베이론을 볼 수 있겠군요.
그런데 중간에 의미가 좀 애매해서 여쭤봅니다.
최고속을 올리려고 미러크기를 줄였다고 하는데.. 다운포스는 오히려 떨어진다?
최고속은 올렸는데 여전히 불안하다라는 의미인지...
뭘까요?

선물입니다... 아이콘으로 쓰세욤...^^

이종석님의 댓글

  • 이종석
  • 작성일
그 부분이 약간 헤깔리 셨을 수도 있네요. 제가 보기엔 작은 미러로 해서 드레그를 줄이면서 탑 스피드를 올릴 수는 있었지만 그렇게 하게 되면 불가피하게 전체적인 변화 불러와야 했기에 결과적으론 차량가격이 오히려 올라가게 되어 버렸죠. 그래서 결국  드레그는 크지지만 공기역학적으로 다운포스를 더 만들 수 있는 형상으로 가면서 미러의 싸이즈를 크게 한 것이죠. 즉 이 말은 공기와 부딛히게 되는 front area를 크게 한 것이죠. 리어 스포일러를 다는 이유와 같은 이치죠.

지금 병철님이 헤깔리신 부분은 이렇습니다. 아래 표현에서 키 포인트는

" 도어 미러를 더 작게 함으로써 탑스피드를 더 올리게 되었지만 훨씬 많은 비용이 덜게 되었죠. 더 큰 미러가 차량의 노우즈를 지면에 달라 붙게 해준 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그것이 없이 차량의 안정성 유지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것이였죠." 즉 이말은 미러가 다운포스를 만들고 이것이 베이론이 탑스피드에 도달 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디어 였던 것입니다."

에서 끝에 표현 "즉 이말은 미러가 다운포스를 만들고 이것이 베이론이 탑스피드에 도달 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디어 였던 것입니다 " 이것이 가져다 줄 수 있게 한 것은 결국 큰 도어 미러 였단 것이죠.
또한 정리하자만 작은 도어 미러(싸이드 미러)는 결과적으로 차량 가격을 높이게 됨으로써 마이너스 요인이 되어 컨셉에서 사라진것이구요.

병철님 지난번 얘기 드렸다시피 제 출국이 얼마 안 남아 있어서 만나 뵐 시간이 없네요. 14일간 출장이라서 갔다 오면 연락 드리겠습니다. 그럼 안뇽..^^

 

 


전체 348 / 1 페이지
RSS
  • 탑을 향한 멕라렌의 도전 댓글 1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04 조회 10611 추천 22

    1998년 폭스바겐의 Ehra-Leissen 테스트 트렉에서 세워진 멕라렌 F1의 405km/h의 탑 스피드를 깨기 위해 2000년 Top Ge…

  • 설린(Saleen) S7 레포트. 댓글 9
    등록자 최택진
    등록일 01.05 조회 13265 추천 3

    안녕하세요, 최택진입니다. 실수로 글을 삭제해버리는 통에다시 올립니다. (T_T) 이번 번역글도 역시 Autozine의 기사로,차종은 설린 S7…

  • 2004 Players' run 댓글 3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06 조회 9332 추천 4

    올해 6월 5일 부터 6월 12까지 열린 Players' run이란 타이틀을 가진 rally이며 아래의 History,route,등은 공식싸이트…

  • 멕라렌 F1 GTR vs 에도니스 댓글 5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08 조회 12958 추천 2

    Evo의 기사를 토대로 멕라렌F1 GTR 과 에도니스의 느낌을 살리려고 한번 번역해 보았습니다.이 두차량 중에 멕라렌 F1 GTR은 핑크 플로이…

  • Goodwood Festival of speed 2004 댓글 2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08 조회 10178 추천 7

    26일 부터 세계 최고의 역사적 의미 있는 모터 레이싱의 축제인 Goodwood Festival of speed 2004가 올해로 25회째를 맞…

  • 베이비 멕라렌의 더욱 더 구체화된 독점공개 댓글 11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09 조회 15403 추천 11

    바빠진 일상에 자주 활동 못해 아쉽군요. 매일 흘러가는 자료들은 모집하고 분석하고 하는데정작 글을 올리는 것에는 바쁘다는 핑게 하에 게을러진게 …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RS 이야기 댓글 5
    등록자 권규혁
    등록일 01.10 조회 13803 추천 16

    자동차 성능을 얘기할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것이 출력대 중량비입니다. 같은 무게라도 출력이 높은 차의 성능이 높은 것이 당연하지요. 같은 이치로…

  • 부가티 베이론 추가 소식 댓글 1
    등록자 이종석
    등록일 01.10 조회 13810 추천 7

    부카티베이론비공식 소식으론 마이클 슈마허가 부가티 베이론을 주문했고, 아마도 가장 구매가능성을 지닌 고객일 것이다. 슈마허는 부가티 EB110을…

  • 국내 유일의 수제 스포츠카, 스피라의 모든것 댓글 15
    등록자 김기태
    등록일 05.03 조회 43252 추천 0

    "같은 지갑이라 할지라도 손으로 만든 수제 지갑이 더 비싼거 아닌가요?" 국내 유일의 수제 스포츠카전문업체 '프로토 자동차'의 김한철(43)사장…

  • 폭스바겐 골프 GTI 댓글 19
    등록자 박석진
    등록일 05.23 조회 23404 추천 0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 위하여... 「GTI is Back.」이라는 문구는 5세대 골프를 출시하면서 부터 폭스바겐이 엽두해둔 하다. 1976년 초…

최근글


새댓글


배너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