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등장하는 메르세데스 차세대 SL의 변화 포인트

작성자 정보

  • 쿰페르트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2,805 조회
  • 3 댓글
  • 1 추천
  • 목록

본문

a4f58c7f0a1629d05aac52464cef5bc7_1602571881_5143.jpg

 

a4f58c7f0a1629d05aac52464cef5bc7_1602571881_6398.jpg

 

a4f58c7f0a1629d05aac52464cef5bc7_1602571881_7738.jpg

 

a4f58c7f0a1629d05aac52464cef5bc7_1602571881_886.jpg

 

a4f58c7f0a1629d05aac52464cef5bc7_1602571881_9849.jpg

 

a4f58c7f0a1629d05aac52464cef5bc7_1602571882_0865.jpg

 

메르세데스가 신형 SL(R232)의 완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SL은 ‘Sport Leicht’를 뜻하는 경량 스포츠카로 1954년 처음 등장해 6세대까지 이어오면서 벤츠를 대표하는 스포츠 모델로 성장한 주인공이죠.


거의 10년 만에 등장하는 풀 체인지(7세대)이니 변화의 폭도 상당합니다. 플랫폼부터 컨셉까지 그동안 ‘벤츠 럭셔리 로드스터’에 가졌던 이미지를 바꾸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중에서 관심 가져볼 만한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우선, 실내 구조가 2+2입니다. 이전 세대 SL은 2인승이죠. 뒷좌석이 없었어요. 하지만, 신형은 작게나마 뒷좌석을 갖추게 됩니다. 그래서 2인승이 아니라 2+2에요. 따라서, 통상 우리가 로드스터라 부르는 형태는 아닙니다. 


이런 형태는 포르쉐 911 카브리올레와 같지요. 2인승보다 2+2인승이 주는 장점은 급할 때 사람 더 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석을 뒤로 젖혀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작은 가방 같은 걸 편안하게 담을 수 있다는 겁니다. 2명이라면 우아하게 여행의 동반자로 삼을만하지요.


물론, 단점도 있어요. 무게가 늘고 휠베이스가 길어져 2인승에 비해 스포츠성을 조금 양보해야 하며, 디자인도 멋지게 뽑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르세데스가 SL을 2+2구조로 바꾼 걸 보면 기술적으로 충분히 이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겠죠.


추가적으로 라인업 조정도 실내 구조를 바꾸는데 한몫했습니다. 이번 SL부터는 벤츠가 아니라 AMG에서 개발을 주도했는데, AMG는 이미 GT 로드스터를 갖고 있지요. SL과 GT 사이의 차별화가 필요했습니다. 요컨대, GT 로드스터는 보다 달리는 즐거움에 치우칠 테고 SL은 좀 더 여유로운 형태(그럼에도 구형보다는 스포츠성이 뛰어나다고 합니다)가 될 겁니다.


플랫폼은 알루미늄을 듬뿍 사용한 신형 GT의 MSA(Modular Sports Architecture)를 활용합니다. 가볍고 비틀림 강성이 뛰어나다는 주장이에요. 개발팀에 따르면 MSA는 디자인 자유도가 크다고 합니다.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GT보다 SL의 보닛을 더 길게 뽑았다는군요. 2+2임에도 비율적으로 클래식 로드스터의 실루엣을 완성할 수 있었다는 설명입니다.


최고 디자인 책임자인 고든 바그너의 말에 따르면 신형 SL의 디자인은 1950년대 활약한 오리지널 버전의 아이덴티티를 반영한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복고풍으로 갈 가능성은 없어요. 바그너가 복고풍을 좋아하지 않거든요. 최근에 나온 메르세데스 모델의 얼굴에 일부 요소만 오리지널에서 가져올 가능성이 크죠. 


새로운 스파이샷을 통해서 전보다 위장 없이 실차에 가까운 실루엣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릴과 라이트, 테일램프에서 벤츠보다는 AMG의 디자인 감성이 더 짙게 느껴집니다. 톱의 형태는 소프트톱이 유력합니다. 


바그너에 따르면 신형에서 가장 공을 쏟은 부분이 실내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고급스러움과 디지털의 완벽한 조화를 추구했다고 하네요. 고급스러움은 실차를 볼 때까지 판단하기 어렵겠으나 스파이샷을 통해 확인된 거대한 센터 모니터를 보니 디지털화는 분명하네요. 


파워 트레인의 핵심은 전동화입니다. 모든 트림에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기본 탑재(AMG 53 515마력, 63은 604마력 정도) 됩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GT73과 같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800마력 이상)을 추가할 계획이 있으니까요.


계획에 따르면, 신형 SL의 데뷔는 내년 봄에 이뤄집니다. 그리고 약 1년 뒤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 뒤따를 전망입니다. 새로운 디자인과 컨셉, 신기술로 무장한 SL의 미래가 어떤 색으로 평가받게 될지 기대되네요.

 



쿰페르트 레벨 26
95%

관련자료

  • 서명
    오토스파이넷 2기 운영진입니다. 앞으로 많은 자료 올리겠습니다 ^^ 제 블로그는 http://weeklyca.blog.me/
댓글 3

소리꾼님의 댓글

  • 소리꾼
  • 작성일
위장을 잘해서 그런가요?
그냥 보면 하드톱같이 보이는군요 ㅎ
30 럭키포인트 당첨!

에쎌님의 댓글

  • 에쎌
  • 작성일
이녀석이 진정 "경량"스포츠 쿠페일까요?  ㅋㅋ

쿰페르트님의 댓글의 댓글

  • 쿰페르트
  • 작성일
그러게요 초기 컨셉이 좀 옅어진 건 부정하기 어렵겠네요 ㅎ
34 럭키포인트 당첨!

 

 


전체 347 / 7 페이지
RSS
  • 경차 기반으로 만든 포르쉐 356 오마주, 660 스피드스터 등장 댓글 9
    등록자 탑보드
    등록일 12.30 조회 14023 추천 1

    ‘356’은 1948년에 등장한 포르쉐의 아이콘이자, 포르쉐의 이름이 들어간 첫 차라서 의미가 남다릅니다. 단종된 지 한참이 지났지만, 그 아름…

  • 아웃도어 마니아를 위한 독특한 미래픽업, 썬더트럭(Thundertruck) 댓글 1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12.26 조회 9432 추천 1

    테슬라가 사이버트럭(Cybertruck)을 공개했을 때 호불호가 크게 갈렸죠. 기존 픽업에 비해 너무 급진적인 모습과 실현 불가능해 보이는 스펙…

  • 벤츠 차세대 E 클래스(W214), 지금까지 확인된 정보 종합 댓글 3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12.08 조회 18166 추천 0

    [ W214 디자인을 엿볼 수 있는 신형 C 클래스 이미지 ]메르세데스 벤츠가 신형 E클래스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현행 W213이 2016년 …

  • 형님 저격한 아우, 포르쉐 718 카이맨 GT4 RS 댓글 3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10.22 조회 8419 추천 0

    포르쉐가 극강의 카이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스포츠카 마니아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주인공, ‘718 카이맨 GT4 RS’입니다. 이름이 긴 건…

  • BMW E90 M3 를 소장해야되는 이유 댓글 3
    등록자 전자치킨
    등록일 09.13 조회 18508 추천 0

    BMW M3 중 V8로 유일하게 구동되는 클래식카인 E90은 반드시 가지고 계셔야합니다.이는 유니크성과 시간이 지날수록 더 가치가 오를 차량입니…

  •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방전이 될까? 댓글 1
    등록자 탑보드
    등록일 09.07 조회 11707 추천 0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일반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달리, 전기모터와 엔진의 동력을 함께 사용한다. 따라서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더 큰 배터리를 탑재…

  • 중국 스타트업이 공개한 제로백 1.8초의 슈퍼 SUV 댓글 10
    등록자 탑보드
    등록일 09.03 조회 8797 추천 0

    ‘WM-MOTOR’는 2016년 설립된 중국의 전기차 전용 메이커입니다. 사명에 들어간 ‘WM’은 독일어로 ‘월드챔피언’을 뜻하는 ‘Weltme…

  • 어제 공개된 GV60 디자인을 분석해보았습니다:) 댓글 12
    등록자 Lutch
    등록일 08.20 조회 8659 추천 3

    안녕하세요ㅎ.... 어제 오후에 작성한다고 하고선 이제서야 올리는 점 죄송합니다.사실 오늘 작성 시작했는데 글 한 시간 반 정도 썼을 때 즈음에…

  • 터키가 만든 제로백 4.8초, 406마력 전기 SUV 댓글 2
    등록자 쿰페르트
    등록일 08.05 조회 9952 추천 1

    자동차 동력의 패러다임이 전기로 넘어오면서 분명히 기회의 장이 펼쳐지는 거 같네요. 기존 자동차 메이커들 이외에 다양한 신생업체들이 존재감을 드…

  • J100 디자인을 분석해보았습니다:) 댓글 16
    등록자 Lutch
    등록일 08.03 조회 9282 추천 2

    안녕하세요! 오늘도 인사드립니다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J100 스케치를 토대로 보았을 때 흥미로운 점들을 알아보았습니다역시 저 개인의 관점일 …

최근글


새댓글


배너


알림 0